[태산북두( 泰山北斗)]

 

(태산과 북두칠성. 사람들이 우러러 존경할 만한 뛰어난 인물.) 

1) 당(唐)나라 때 4대 시인(四大詩人)의 한 사람으로서 당송팔대가 (唐宋八大家) 중 굴지의 명문 장가로 꼽혔던 한유(韓愈 : 字는 退之)는 768년 지금의 하남성(河南省)에서 태어났다. 

그는 9대 황제인 덕종(德宗 : 779-805) 때 25세의 나이로 진사(進士) 시험에 급제한 뒤 이부상서(吏部尙書)까지 되었으나 황제가 관여하는 불사(佛事)를 극간(極諫)하다가 조주자사(潮州刺史)로 좌천되었다. 
 
천성이 강직했던 한유는 그 후에도 여러 차례 좌천, 파직(罷職) 당했다가 다시 등용되곤 했는데 만년에 이부시랑(吏部侍郞)을 역임한 뒤 57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이처럼 순탄치 못했던 그의 벼슬살이와는 달리 한유는 '한유(韓柳)'로 불렸을 정도로 절친한 벗인 유종원(柳宗元 : 字는 子厚)과 함께 고문부흥(古文復興) 운동을 제창하는 등 학문에 힘썼다. 

그 결과 후학들로부터 존경의 대상이 되었는데, 그에 대해 당서(唐書) '한유전 (韓愈專)'에는 이렇게 적혀 있다. 

당나라가 흥성한 이래 한유는 육경(六經)을 가지고 여러 학저들의 스승이 되 었다. 한유가 죽은 뒤 그의 학문은 더욱 흥성했으며, 그래서 학자들은 한유를 '태산북두(泰山北斗)'를 우러러보듯 존경했다. 
 
自愈沒 其言大行 學者仰之 如泰山北斗云.  
 
2) 태산(泰山)은 중국 오악 중의 하나인 산동성  태안현(泰安縣) 북쪽에 있는 산으로서, 중국인들이 신성시 여기는 영산(靈山)이다. 옛날 중국 천자가 천하의 제후와 회동하던 곳이기도 했다. 

흔히 큰 것을 비유할 때‘태산만  하다’고 말하므로 무척 높은 산으로 알고  있지만 실제 높이는 1,450m로 백두산 보다 낮다. 

북두는 북두성(北斗星)을 이른다. 
태두라는 말은  천자의 제사 의식에서 유래된 말이다. 

옛날 중국에서는 새로운 왕조가 탄생하거나 태평성대를 누렸을 때는 그 감사함을 천지신명께 고하는 풍습이 있었다. 

제사는 태산의  정상에서 북두칠성을 향해 올렸다. 북두칠성을 뭇 별의 중심으로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또 지신을 올리는 제사는 양보산에서 지냈는데, 반드시 태산을 향해 올렸다. 지신(地神)이 깃든 곳이라 여겼기 때문이다. 

이때부터 중요한 존재를 일러 태두라 했으며, 훗날 훌륭한 업적을 남긴 사람 에게 붙이는 존칭으로 그 뜻이 바뀌었다
 
泰 클 태. 山 메 산. 北 북녘 북. 斗 말, 별자리 두. 
 
[동] 泰斗(태두). 山斗(산두) : 泰山北斗의 준말. 
 
[유] 德爲人表(덕위인표) : 덕망이 높아 사람들의 사표가 되다. 
     萬夫之望(만부지망) : 모든 사람들이 우러러보다. 
     百世之師(백세지사) : 후세에까지 사표가 되어 존경받을 만한 훌륭한 인물. 
     如泰山北斗(여태산북두) 

[출전] 唐書 韓愈傳贊

<더 상세한 내용>

 

[ 泰 山 北 斗] (태산북두)

한자

 클 태 / 산 산 / 북녘 북 / 말 두

의미

 태산과 북두성이라는 뜻으로,

모든 사람이 존경하는 뛰어난

 인물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학술이나 예술 등 방면에서 썩

권위가 있는 사람을 비유하기도 함.

준말

 泰斗(태두)

字意
◎ 泰(태) 물을 사람들이 들어서 건너게 하는 모양에서

 ‘편안하다’는 의미 생성.

 후에 큰 사람만이 가능했기 때문에 ‘크다’는 의미 도출.
◎ 山(산) 솟아 있는 산들의 모양의 형상화한 글자.
◎ 北(북) 두 사람이 서로 등을 대고 있는 모양에서

 추위에 체온을 나눈다는 의미에서

 추운 겨울을 북풍을 상징해 '북녘'의 의미 생성.
◎ 斗(두) 곡식의 양을 재던 계량기구의 형태에

 곡물을 상징하는 두 점을 더함. 부수로도 사용되고

 '측량'의 의미를 지님. 별도로 '북두성'을 의미함

 

1-泰

 

 

크다, 평안하다.
  (물 수) , 5
泰山(태산) : 높고 큰 산.
泰平(태평) : 세상이 잘 다스려짐.
1. 마치 泰山(태산)처럼 움직임이 없구나.
2. 나라가 泰平(태평)한 시기였다
大(큰 대:음에 관련되는 부분)+ 2개의 手(손 수)+水(물 수)로서, 두 손을 물에 씻는다는 뜻의 글자이며 후에 크다, 평안하다로 뜻이 파생됨. 형성

2-山

 

뫼, 산, 무덤, 분묘
  (뫼 산) , 0
山川(산천) : 산과 내.
泰山(태산) : 썩 높고 큰산.
1. 옛날에는 山川(산천)을 경계로 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
2. 泰山(태산)이 높다 하되 하늘 아래 메이로다.
山高水長(산고수장)
山紫水明(산자수명)
山川草木(산천초목)
山海珍味(산해진미)
'산'의 모양을 본뜬 글자. 상형

3-北

 

북녘
북녘, 북쪽으로 가다, 배반하다.
  (비수 비) , 3
北方(북방) : 북쪽 지방.
北極(북극) : 지구의 북쪽 끝.
1. 北方(북방) 민족으로는 에스키모가 있다.
2. 나침반에서 위쪽이 北極(북극)을 가리킨다.
두 사람이 서로 등을 맞대고 서 있는 옆모양을 본뜬 글자. 그래서 '등지다'의 뜻을 나타내며, 햇빛의 기운이 서리는 남쪽을 등지는 곳이 북쪽이라 하여 '북쪽'이란 뜻을 나타내게 됨. 상형

4-斗

 

말, 별이름
  (말 두) , 0
北斗七星(북두칠성) : 큰곰자리에서 국자 모양으로 된 일곱 개의 별.
泰斗(태두) : 泰山北斗(태산북두)의 준말로 어떤 분야에서 권위가 있는 사람.
1. 여름밤에는 北斗七星(북두칠성)이 더 밝게 보였다.
2. 퇴계 이황 선생은 조선시대 성리학의 泰斗(태두)이시다.
용량을 되는 그릇의 하나인 자루가 달린 '말'의 모양을 본뜬 글자. 상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