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 도 여 ( 遊 刀 餘 地)
[놀 유(遊) /칼 도(刀)/ 남을 여(餘) /땅 지(地)]
중국 전국시대 양(梁)나라의 백정 포정(包丁)이
중국 전국시대 양(梁)나라의 백정 포정(包丁)이
어느 날 왕 앞에서 소를 잡았다.
그 모습을 가만히 지켜보던 왕은
포정의 낡은 칼과 유연한 손놀림에 탄성을 질렀다.
포정은 "부단한 노력으로 도(道)가 텄기 때문에
19년간 바꾸지 않은 칼로도 살과 살 사이
넓은 틈이 있는 듯 소를 잡는다"고 담담히 말했다.
장자(莊子) 양생주(養生主) 편에 나오는 말로,
최선을 다해 어떤 일에 능통한 자는
역도 여자 75㎏ 이상 급에서 세계신기록 5개를 세우며
금메달을 따냈다. 2위와의 차이는 무려 49㎏. 그
녀의 우승을 지켜본 외신은 "장난감 들듯 바벨을 들어올렸다"고 표현했다.
장미란은 인상 1차 시기부터 다른 선수들보다
10㎏ 이상 무거운 130㎏을 들어올렸다.
처음부터 상대 선수들의 '기(氣)'를 죽였다.
장미란은 3차 시기 140㎏을 성공시키며
기존 인상 세계기록(139㎏)을 넘어섰다.
인상 2위를 기록한 올하 코로브카(우크라이나)는
124㎏을 들었을 뿐이었다.
용상 1차 시기는 '자신과의 싸움'이었다. 장미란은
175㎏을 성공하며 일찌감치 금메달을 확정했다.
2차 시기부턴 '세계기록과의 싸움'이었다.
183㎏을 신청한 장미란은 힘찬 기합과 함께
종전 합계 세계기록(319㎏)을 4㎏이나 넘어섰다.
다른 선수들이 도저히 넘볼 수 없는 존재가 돼버린 것.
마지막 시기, 장미란은 186㎏을 들어올렸다.
새로운 세계기록 수립에 관중들의 탄성이
경기장에 가득 찼다. 장미란은 곧바로
플랫폼에 무릎을 꿇고 기도를 했다.
하루에 4만㎏을 들어올리는 훈련 탓에 굳은살이
가득 박인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두 손'이었다.
<더 상세한 내용>
[유도여지(遊刀餘地)] 일에 익숙한 사람은 여유가 있다. 살을 잘라 낼 때 살과 살 사이에 틈이 있어 칼이 자유롭게 사용되는 것.
1-遊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성어)] [금슬상화](琴瑟相和) (0) | 2010.08.13 |
---|---|
[(고사성어)] 斷金之契(단금지계) (0) | 2010.08.13 |
[(고사성어)] [호접지몽](胡蝶之夢) (0) | 2010.08.08 |
자연과 하나됨이 최고의 경지이다. (0) | 2010.08.08 |
[(고사성어)] [파사현정](破邪顯正 (0) | 2010.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