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도그를 유난히 좋아하던 꼬마가 어느날 갑자기 사라졌다.
1975년 8월 20일 오후 8시경 부산시 서구 장.림동에 사는 김은영 양(가명·7)은 이날도 '핫도그를 사먹으러 간다'며 집을 나섰다.
핫도그를 파는 구멍가게는 김 양의 집에서 5~10분 정도의 지척거리에 있었다.
간식으로 핫도그를 즐겨먹던 김 양은 거의 매일같이 집 근처에 있는 가게에 가서 핫도그를 사먹고 돌아오곤 했었다.
↑ 1975년 당시 이 사건은 일간지 1면과 사회면을 연일 장식하며 전국민을 공포에 떨게 했다.
그런데 무슨 일인지 한참이 지나도 김 양은 돌아오지 않았다. 불안해진 김 양의 부모는 딸을 찾아 나섰다. 가게 주인에 따르면 이날도 김 양은 핫도그를 사들고 곧장 집을 향해 뛰어갔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그것이 김 양의 마지막 모습이었다. 주민들과 인근 파출소 순경까지 나서서 김 양을 찾았지만 그녀의 모습은 어디서도 발견되지 않았다. 그렇게 늦은 시간도 아니었지만 김 양을 봤다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감쪽같이 증발해버린 것이다. 그리고 김 양은 다음날 새벽 싸늘한 주검으로 발견된다. 김 양은 다음날 새벽 5시 45분경 부산시 중구 동광동 용두산 공원
이번에 김원배 경찰청 수사연구관이 전하는 잊을 수 없는 사건은 당시 연일 신문 1면을 장식하며 부산 시민들을 공포에 떨게 했던 '부산 어린이 연쇄살인사건'이다. 이 사건은 당시 박정희 전 대통령이 '어린이 유괴살해범을 빨리 검거하라'는 특별 지시까지 내렸지만 끝내 범인을 잡지 못했고 30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미제로 남아있다.
우선 당시 상황에 대한 김 연구관의 얘기를 들어보자.
인근 숲 속에서 발견됐다. 김 양은 러닝셔츠와 나일론 혁대로 손발이 결박된 상태로 유기돼 있었다. 사인은 경부압박에 의한 질식사였다. 김 양을 처음 발견한 사람은 공원 관리인이었는데 발견 당시는 사망한 지 여러 시간이 지난 후였다. 사체 상태로 보아 실종 직후 살해된 것으로 추정됐다."
김 양이 집을 나선 시간과 살해추정 시간 등을 따져볼 때 김 양은 핫도그를 사먹고 돌아오는 길에 변을 당한 것이 분명했다. 그리고 그 시간은 길어야 10분을 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됐다.
범인은 도대체 누구일까. 하지만 이상하게도 김 양을 봤다는 목격자는 아무도 없었다. 특히 범인이 해가 지지 않은 시각에 그것도 주택가에서 무모하게 범행을 저질렀다는 점은 납득하기 힘들었다.
주택가에서 강제로 김 양을 끌고 간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했다. 유괴에서 살해까지의 범행이 목격자도 없을 정도로 순식간에 이뤄졌다는 점에 주목한 수사팀은 면식범에 의한 범행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김 양의 주변인물들을 상대로 일차적인 탐문수사에 들어갔다. 또 채무나 치정 등 원한관계에 의한 보복범행일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김 양의 부모와 가까운 사람들을 모두 조사했다. 하지만 용의점이 있는 사람은 좀처럼 나타나지 않았다. 수사는 처음부터 난관에 부딪혔다.
다음은 김 연구관의 얘기.
범인의 엽기행각에 수사팀들은 또 한 번 치를 떨 수밖에 없었다. 두 사건은 △범행대상이 10세 미만의 아동이라는 점 △흉기를 사용하지 않고 상의를 찢어 손발을 묶고 목을 졸라 살해했다는 점 △범행 시간이 해질녘이라는 점 등 유사한 점이 많아 동일인물의 소행으로 보였다.
특히 살해 후 피해 아동의 배에 사인펜으로 의문의 낙서를 해놓았으며 그 필적이 같다는 점은 범인이 동일범이라는 것에 무게를 실어줬다. 뿐만 아니라 범인은 김 양 때와 마찬가지로 오 군의 집에 금품을 요구하는 협박전화를 한 적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별한 목적도 없이 성별을 가리지 않고 아동을 대상으로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보아 범인은 '아동혐오론자'라는 얘기도 흘러나왔다.
사건이 발생한 지 며칠이 지나도 수사에 진전이 없자 8월 29일 박정희 당시 대통령은 '어린이 유괴살해범을 빨리 검거하라'는 특별 지시를 내리기도 했다. 그리고 극히 이례적으로 같은 날 경찰과의 공조수사를 위해 부산지방검찰청에도 수사본부가 설치됐다.
하지만 범인의 윤곽은 좀처럼 드러나지 않았다. 그리고 11월 30일 또다시 끔찍한 살인사건이 발생한다. 다음은 김 연구관의 얘기.
"오전 11시 30분경 부산 영도구 영선동의 한 초등학교 화장실 내에서 여아의 변사체가 발견됐다. 피살자는 이진희 양(가명·8)이었는데 사인은 질식사였다. 이 양은 목에 졸린 흔적이 뚜렷이 남아 있었으며 자열창(칼에 베이거나 피부가 찢어져서 생긴 상처)도 목과 복부 등에 있었다. 그리고 같은 날 밤 11시 30분경에는 서구 감천 2동에 소재한 까치고개 인근에서 장성혁 군(가명·13)이 변사체로 발견된다. 사건 당일 박 군은 노상에서 김밥장사를 하는 어머니를 만나러 갔다가 먼저 귀가한 후 실종된 상태였다. 박 군의 사인 역시 경부압박에 의한 질식사였는데 안면을 둔기로 심하게 구타당한 것이 달랐다."
'주의 범죄 사건 사고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청 교육대의 참상 (0) | 2007.03.17 |
---|---|
05년 당시 전군이 발칵 뒤집혔던 사건 (0) | 2007.01.05 |
유영철 사건일지 (0) | 2007.01.05 |
"죽음의 배" 페스카마호 사건 (0) | 2007.01.01 |
내 나이만큼 사람을 죽이겠다! 살인택시 온보현 사건 (0) | 2006.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