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Fi, 3G, 4G 란 ? 그리고 설정방법

 

갤럭시 휴대폰 초보자를 위하여

 

스마트폰을 처음 사용하는 분들은 3G 와 4G 또는 Lte/Lte-A 그리고

와이파이(Wi-Fi) 란 말들이 아마도 생소할 수가 있습니다.

 

저도 잘 모르지만 그래도,

여기저기서 읽은 것을 아는대로 적어보았습니다.

 

3G와 4G(Lte, Lte-A)는 통신사의 데이터 서비스망을 말하는 것이고,

와이파이(Wi-Fi)는 인터넷 업체의 서비스 망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통신서비스에 일부는 유료임을 인지하시고 유의 하셔야 되겠습니다.

보통 3G와 4G(Lte, Lte-A)는 유료이고, 와이파이(Wi-Fi)는 무료라고

생각하고 있으면 되겠습니다.

 

3G와 4G(Lte, Lte-A) 통신사의 데이터 망을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량에

따라 비용이 발생하게 되지요.

 

스마트폰을 처음 구입할 때 요금제에 따라 일정한 데이터 사용량은

통신사에 지불하는 월 정해진 사용요금에 포함되어 있지요.

 

따라서 월정액 요금에 포함된 데이터 사용량내에서 사용은

월정액의 요금만 지불하면 되지만 그 보다 초과해서 쓰게 되면

추가 요금을 청구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가입자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월정요금에 포함된

데이터 사용량을 훨씬 많이 초과 사용하는 가입자도 보았습니다.

이렇게 되면 요금 폭탄을 맞을 수도 있지요.

항상 사용량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래서,

통신사에 따라 다르겠지만, 데이터 제한 설정 가능이 있습니다.

 

사용량 확인은 기기에 설치된 각 통신사 고객센터 어풀을 이용하면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3G 와 4G는 스마트 휴대폰이 터지는 곳이라면 어디라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 제약이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와이파이(Wi-Fi)는 자신의 개인 컴퓨터(PC)나 노트북(Notebook)을

무선랜(wireless LAN)을 이용해 인터넷(Internet)에 접속하는 것과 같은

개념으로 이해 하시면 되겠습니다.

 

사용량 제한이 없는 대신에 무선 인터넷 공유기가 커버할 수 있는

범위가 그리 넓지 못하기 때문에 공간의 제약을 받게 됩니다.

무선 인터넷이 사용 가능한 가정, 학교, 직장, 관공서, 지하철,

그리고 커피숍 등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접속할 때 비번이 없는 공개된 와이파이의 경우 해킹 등의

보안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연결할 때 주의가

필요 하다고 합니다.

 

보통 3G 보다는 와이파이가 속도면에서 더 빠르고,

요즘 많이 사용하는 4G(Lte, Lte-A)는

와이파이 보다 속도가 빠를 때도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데이터 용량 제한 때문에 3G와 4G(Lte, Lte-A)와 와이파이를

경우에 따라적절히 연결해가며 사용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데이터 사용량은 각 통신사의 고객센터 어풀을 통해 확인 하거나

자기 휴대폰 기기 자체에서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지요.

 

통신사 고객센터 어풀을 사용하는 게 가장 정확하겠지만

아무래도 데이터 사용량이 실시간으로 바로 반영되지 않기때문에

약간 시차가 생길 수 있습니다.

 

기기 자체에서는 손 쉽게 확인할 수 있으나 통신사에서 실제로

체크(check)하는 양과 차이가 생길 수 있다고 합니다.

각각 장단점이 있으니 두 가지 다 활용하시면 데이터 사용량 체크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통신사 고객센터 어풀을 통해 사용량을 확인하는 것은

내 통신사 계정(없으면 회원가입이 필요)으로

로그인 하면 된답니다.

 

기기에서 사용량 확인하는 방법은 '메뉴 - 환경설정 - 네트워크 연결' 로

가서 '데이터 사용' 을 선택합니다.

내가 데이터를 얼마나 사용했는지 그래프와 수치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네트워크' 를 체크/해제 함에 따라 데이터 사용을

가능/중지 시킬 수 있고,  '부팅할 때 네트워크 접속여부를 묻기' 에 체크하면

전원을 켤 때마다 데이터 넷트워크 접속을 허용할지 안할지 묻는

안내창이 뜬다고 한다.

 

'데이터 사용량 제한 설정' 에 체크하면 자기가 설정한 용량을

초과할 경우 경고 알림과 데이터 사용제한 알림이 걸리게 됩니다.

 

연세가 좀 지긋한 우리들은 데이터 사용 용량 초과로

요금 더 지불하는 것을 원치 않지요.

 

그래서 데이터 용량 초과가 걱정되는 분은

'데이터 사용량 제한 설정' 을 하면 되겠지요.

 

제한 값에는 경고값과 제한값이 설정되는데 경고 값을 초과하면

상단 알림창에서 경고 문구가 뜨게되고 제한 값을 초과하면

기기에서 데이터 사용을 제한해 버리기 때문에 아예 못쓰게 한다네요.

그리고 추가로 데이터 연결을 할 것인지 묻는 안내창이 띄워준답니다.

 

경고선과 제한선은 화면 우측 또는 좌측의 노란 박스 안에 수평선을

위 아래로 움직여서 내 데이터 사용량을 맞게 조절할 수가 있습니다.

 

와이파이(Wi-Fi)를 연결하는 방법은

3G와 4G(Lte/Lte-A)와 내나 똑 같은 방법으로 

'메뉴 -환경설정 - 연결' 로 가서 Wi-Fi 를 선택하면 된데요.

 

'와이파이를 켜짐' 으로 하시면 주변에 있는 와이파이 무선 인터넷

종류 목록이 뜨는데, 그중에 내가 연결할 수 있는

무선 인터넷을 선택하면 됩니다.

 

공개된 와이파이의 경우 선택하면 바로 연결되지만,

보안이 걸린 경우엔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된다고 합니다.

 

참고로 하나 더 말씀드리면 한번 연결됐던 와이파이는 이후에

와이파이를 켰을 때 자동으로 이전 사용했던 종류의

와이파이 모드에 다시 연결된다고 합니다.

읽어 보시고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