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피존은 중성세제가 아닙니다.

    섬유 유연제입니다.

2. 중성세제는 액성이 pH7.0 되는 세제를 말합니다.

3. 종류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3-1. 울샴푸와 같이 모직물이나 견직물을 씻을 수 있는 울샴푸 같은 세제가 있습니다.

   3-2. 주방용세제도 중성세제입니다.

   3-3. 샴푸도 중성세제입니다.

   3-4. 섬유가공용 정련제도 중성세제입니다.

   3-5. 기타 특수 물품세정할 때 쓰는 세제도 있습니다.

          손세정제와 같은 세제 등이 있습니다.



세제의 구분

 

 가정용(물사용)

업소용 (기름 사용)

 비누

세탁세제 

 드라이클리닝용 세제(소프)

 빨래비누

 약알칼리성

중성

 음이온

양이온

논이온 

(동물/식물성기름)

[알칼리성 섬유용] 

식물성 섬류(면,마)

합성섬유

[산성 섬유용]

동물성섬유(모,실크) 

아세테이트 섬유

 

*드라이클리닝과 물세탁의 효과를 동시에 볼수 있음

 샴푸

(세척중중심)

린스

(촉감 중심) 

삼푸+린스 

(세척과 촉감 반반) 

 

 

 

 

 

 

중성세제 이해하기

 

 실리콘계

(가정용 중성세제)

식물성계 

(가정용 고급중성세제)

이상세정제 

(업소용 중성세제)

 울샴푸, 울센스

식물/오렌지계 과일 추출물

물과 기름의 중간 성분 

 오염제거 보다는 코팅 중심

마룻바닥을 왁스로 닦는 것과 비슷

 오염제거 탁월

식물오일이 섬유를 유연하게 함

천연세제로 자극이 적음

(but 모, 캐시미어, 앙고라, 실크 100% 금함)

드라이클리닝 대용세제

수축 이염방지 성분으로 고온 세탁 가능

(*대표 상품: 크린에버 홈드라이) 

 중성세제 세탁 전용

중성 + 드라이클리닝 세탁 가능

물세탁/ 중성세제/드라이클리닝/기능성 의류 세탁 가능 

 

 

 

1) 중성세제란 무엇인가요?

    ph농도라는 말을 들어 보셨지요. 농도가 7이하인 경우는 산성, 7은 중성 , 이상은 알카리

     1<.................7................>14

   (산성)          (중성)         (알카리)

    중성 세제는 중간의 성질을 갖는 세제입니다.

    울샴프와 퐁퐁등이 여기에 해당이 됩니다.

    실크 울소재,기타 다루기 힘든 소재를 세탁하는데에 무리가 없는 세제이지요.

    즉 수축과 변형및 질감의 훼손과 물빠짐을 최소화 할 수있는 고급세제입니다.

    고급세제이다보니 비용이 좀 비싸죠?

    약 알카리 성분의 합성세제인 가루 비누로 세탁을 할 때에

    물빠짐이나 수축 변형이 되는 단점이 있는 반면에....

    산성세제는 의류에서는 세척력이 전혀 없습니다.

    중화를 하거나 보조제로 사용하지요. 마지막 헹굼시에 사용하는 유연제가 여기에 해당이 되지요.

 

2)울샴프가 중성세제인가요?

   그렇습니다.

   울샴프와 요즘 나오는 드라이 세제, 식기 세턱제인 퐁퐁이 여기에 해당이 됩니다.

 

3)가루로 된 중성세제가 있나요?

   가루로 나온 중성세제는 없습니다.

 

4)중성세제를 세탁기 에 넣으면 안되나요?

   안되는 것은 아니지만 거품이 많이 나와서 좋은 방법은 아니구요.

   헹굼을 여러번 해야하는 단점이 있지요.

 

   중성세제 울샴푸는 주로 손세탁을 하기 위해서 사용이 됩니다.

   원단이 고급이어서 물빠짐이 있는 소재나, 수축과 변형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사용이 됩니다.

   정리를 해보면 세탁의 꽃은 중성세제을 활용한 손세탁입니다.

   원단도 보호하고 변형방지와 물빠짐을 방지가 되니까요.

   마트에 가면 여러 종류의 중성세제가 있어요.

  대부분 울@@이라고 적혀 있습니다. 거의 비슷합니다.


~~~~~~~~~~~~~~~~~~~~~~~~~~~~~~~~~~~~~~~~~~~~~~~~~~~~~~~~~~~~~~~~~~~~



1) 수소이온농도지수(PH)가 7을 중성, 7이하 사성, 7이상 알칼리성이지만,

  일반적으로 중성세제는 PH 6~7 정도의 세제를 말합니다.

 

2) 울삼프는 세제 중 울(모)을 세탁하기에 적합한 세제로

   일종의 중성세제로 중성에 가까운 약산성의 세제입니다.

  

 

3) 가루의 경우 일반적으로 알칼리성 세제 입니다.

   세척력이 좋지만 섬유에 무리를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면과 같은 알칼리에 강한 셀룰로스 섬유에 적합합니다.

 

4) 세탁기 사용해도 좋습니다.

   중성세제는 알칼리에 약한 모, 실크, 프린트 제품에 적합 합니다.

 

   중성세제는 성분은 거의 비슷합니다.

   대형 마트에 가면 다양한 세제를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용기의 작은 글씨지만 성분을 비교해 보세요.

 

  ※세제는 섬유에 따라 적합한 세제가 있는 것이지

    중성이 좋고 알칼리가 나쁜 것은 아니랍니다.

    세탁은 화학적 물리적 작용을 잘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옷의 품질표시 참고 하세요.



~~~~~~~~~~~~~~~~~~~~~~~~~~~~~~~~~~~~~~~~~~~~~~~~~~~~~~~~~~~~~~~~~~



효소세제는

세제(계면 활성제)에 효소제를 첨가한 것을 말합니다.

효소제의 종류는 지방, 단백질 분해효소 등이 있습니다.

효소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온도 및 PH등을 적적하게 조절해 주어야 하면,

그래야 때도 잘 분해 됩니다.

 

세제의 종류는

형상에 따라 액체와 분말이 있습니다.

PH에 따라서 산성, 중성, 알칼리성 세제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중성세제는 소프트한 세제입니다.

그래서 섬세한 옷을 세탁합니다.

알칼리성은 면 등을 세탁할 때 좋은 세제로 때가 잘 빠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주방용 세제는 중성세제입니다.

주방용 세제는 기름기를 잘 제거할 수 있는 계면 활성제가 들어 있습니다.

그래서 세탁용 중성세제보다 기름기가 잘 지워집니다.



~~~~~~~~~~~~~~~~~~~~~~~~~~~~~~~~~~~~~~~~~~~~~~~~~~~~~~~~~~~~~~~~~~



 중성 세재는 보통 가루 보다 액체 세재로 되어 있습니다

 

미지근한 물에 타서 옷을 담겨 두셨다가 (20분정도)

세탁 하시면 됩니다 ㅡㅡ> 손세탁

 

세탁기에는 투입구로 넣으시면 되구요

 

중성 세재는 보통 색빠짐을 방지 하는 역활이 큽니다

 

하지만 떄를 제거 하는 역활은 알카리 세재 보다 약합니다

 

그래서

색을 빠지게 하지 않게 하려면 중성 세재를 사용 하시고

찌든떄가 있을경우는 알카리 세재를 사용 하시면 됩니다

 

속옷 종류는 비싼  중성 세재를 사용 하지 않아도 됩니다

그리고 라벨을 보시면 세재 선택이 적혀 있습니다

참조 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



청바지같은 경우:드라이세제와 물을 혼용한후 찌든때 부분만 치솔등으로 먼저 
비벼 준 후 10~15분정도 담갓다가 빼시면 되구요.

니트류의 경우는 :울샴푸를 물과 희섯시켜 담가두시고 5분정도 후에빼시면 됩니다

대신 주의 하실점은 물은 절대 찬물만 사용하십시요
안그러시면 세탁한 옷 들 전부 동생이나 아님 딴분들 드려야 됩니다!!!!

사실 청바지는 그냥 빠셔도 무방한걸루 압니다.
홈드라이 세제의 경우:이불빨래나 형체 유지가 필요한 고급옷가지에 적당하시구여
반드시 옷종류에 따라 물과희석하여 담구시는 시간을 지켜주
셔야됩니다.
울샴푸의 경우:실크 ,니트 ,넥타이등 비교적 가벼운 옷가지들의 세탁에 좋습니다.

물은 찬물입니다!!!!



~~~~~~~~~~~~~~~~~~~~~~~~~~~~~~~~~~~~~~~~~~~~~~~~~~~~~~~~~~~~~~



원단의 소재와 그리고 혼용율에 따라서 보풀정도가 달라지지요.

 

의류마다 세탁 표기법이 따로 있구요.

알맞는 세탁법을 사용을 가능한 지키시는 것이 좋지요.

 

알칼리성 세제와 표백제가 있는 세제는 세탁성은 아주 뛰어나나

원단이 훼손이 일어나는 단점이 있지요.

면이나 폴리에스테르 원단은 가루세제를 사용해도 좋아요.

세제가 나빠서 이런 현상이 있는 것이 아니구요.

 

그러나 울소재와 나일론이 섞인 소재 기타 혼용율이 있는 니트종류는 아주 취약하지요.

특히 아크릴 섬유에서도 그러하구요.

이런 원단에서는 중성세제를 이용한 손세탁을 해야 할 것이구요.

아니면 울코스의 세탁법으로 해결이 됩니다.

 

더불어 보플이 방지하는 방법은 세탁망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그리고 울코스의 소프트한 세탁법을 사용을 권합니다.

미리 세탁물을 분리를 해서 세탁하는 습관을 드려야 하겠구요.



~~~~~~~~~~~~~~~~~~~~~~~~~~~~~~~~~~~~~~~~~~~~~~~~~~~~~~~~~~~~~~~~




3. 의복의 손질과 보관

①세탁

(1)세탁준비

  [1]얼룩의 종류와 제거 방법

    *과일즙,주스 :찬물로 즉시 닦아낸다. 뜨거운 물에 잘 견디는 천이라면 뜨거운 물

      부은 후 세탁한다.

    *껌,접착제 :얼음으로 문질러 딱딱하게 되도록 한 후 끝이 무딘 칼로 긁어낸다. 여분

      은 드라이 클리닝액으로 지운다.

(2)세제와 세탁

   [1]세제

    *비누 지방 알칼리와 반응시켜 만든다.

    *비단이나 양모, 흰색 나일론 의복의 세탁에는 적당치 않다.

    *합성 세제는 합성해서 만든 계면 활성제가 주성분이며 세탁이 잘 되게 하기 위해서

     알칼리 조제, 효소, 표백제 등을 첨가한다.

    *환경 오염의 문제가 있으므로 꼭 필요한 양만 사용

   [2]세탁

    ㉮물세탁

    *세제 농도는 약 0.2~0.3%가 적당

    *비단, 양모, 나일론 그늘에 말려야 누렇게 변하지 않는다.

    *셔츠나 스웨터 등은 빨래 줄에 널어 건조시킬때 늘어나지 않도록 주의

    *건조기를 사용할 때에는 섬유 종류에 따라 적당한 온도를 택하며 수축가능성도 있으

      므로 주의

    ㉯드라이 클리닝

    *비단, 양모, 레이온, 아세테이트

    *안감, 심감이 들어 있는 겹옷

    *기름기에 의한 더러움은 잘 제거

    *땀, 음식 국물 등의 오염은 잘 제거되지 않는 단점

    *드라이 클리닝에 사용하는 용제에는 석유계 염소계가 있다.

다이얼

1

2

3

양모

온도

70~100

100~120

120~140

140~160

160~180

180~200

섬유

아세테이트아크릴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레이온

양모

②옷감의 특성에 대한 이해

(1)섬유의 종류

  [1]천연 섬유

   ㉮면 섬유

   *흡습성 크다.

   *물에 젖으면 강도가 더 커진다.

   *알칼리  하다.

   *구김 잘 생긴다.

   *시어사커, 코듀로이, 데님, 타월, 우단

   ㉯마 섬유

   *강하고 빳빳하며, 열 전도성이 좋아 시원하다.

   *흡습성 크다.

   *구김 잘 간다.

   *물세탁 줄어든다.

   *모시, 삼베, 아마

   ㉰모 섬유

   *보온성 좋다.

   *흡습성 크고, 가볍다.

   *구김 잘 생기지 않고 주름이 잘 펴짐

   *축융성이 있음(드라이 클리닝이 안전)

   *플란넬, 개버딘, 파일 코트감

   ㉱견 섬유

   *광택이 아름답고, 촉감이 좋음

   *드라이 클리닝 안전(수용성 오염 주의)

   *흰색견은 누렇게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세탁용수, 세제, 햇볕 등을 주의

  [2]인조 섬유

   ㉮레이온

   *강도 

   *구김이 잘 생김

   *보온성 좋지 못함

   *정전기가 잘 생기지 않아 안감이나 속옷으로 적당

   ㉯나일론

   *흡습성 매우 낮음

   *물에 젖지 않고 잘 마름

   *알칼리성 세제로 세탁하거나 햇빛에서 말리면 흰색이 누렇게 변함

   *중성세제 사용

   *그늘에서 건조

   ㉰폴리에스테르

   *질기고 구김이 생기지 않는다.

   *열가소성이 좋아 열 고정 가공을 하면 세탁 후에도 다림질이 필요 없게 된다.

   *알칼리와 햇빛 강하다.

   *촉감이 참, 흡습성이 낮다.

   ㉱아크릴

   *가볍고, 부드럽다.

   *보온성 탄력성 좋다.(스웨터, 겨울용 내의, 담요, 인조 모피)

   *햇빛 약품 강하다.(커튼, 카펫, 공업용으로 쓰임)

   ㉲폴리우레탄

   *스판덱스라고도 불린다.

   *신축성 좋다.

   *여성용 속옷, 수영복, 운동복, 압박 붕대에 쓰인다.

(2)옷감의 종류

  [1]직물

   ㉮평직

   *표면 광택이 좋지 못함.

   *빳빳하고 촉감이 좋지 못함.

   *튼튼하고 변화가 적다.

   *구김이 잘 생긴다.

   *광목, 옥스퍼드, 모시

   ㉯능직

   *표면 광택이 평직보다 좋다.

   *부드럽고 촉감이 좋다.

   *구김이 덜 생긴다.

   *겉에 사선 방향이 두둑이 보인다.

   *개버딘, 데님, 서지

  [2]편성물

   *씨실이나 날실 한쪽만의 실로 코를 연속적으로 만듬

   *메리야스직이라고도 한다.

   *조직점이 없어 부드러움

   *신축이 크다, 가볍고 보온성이 크다.

   *구김이 생기지 않는다.(세탁후 다림질 필요없음)

   *내의, 스웨터, 양말, 운동복 등에 쓰임

  [3]그 밖의 옷감

   ㉮펠트

   *양모의 축융성을 이용해 만듬.

   *섬유로 직접 옷감을 만든 것

4.반바지만들기와 수선하기

  [1]치수재기

   *상의제작 :가슴둘레, 등길이

   *하의제작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바지길이, 밑위길이



~~~~~~~~~~~~~~~~~~~~~~~~~~~~~~~~~~~~~~~~~~~~~~~~~~~~~~~~~~~~~~



1. 액체세제를 선호하는 이유

    (1) 가루세제는 가루가 날라 와서 건강에 해를 주기도 하고 또 취급하기도 불편하기 때문입니다.

    (2) 가루세제는 물에 완전히 녹지 않고 남아서 빨래에 남아 있을까 염려가 되기 때문입니다.

    (3) 가루세제는 사용량의 측정이 불분명하기 때문입니다.

2. 모든 세탁에 울샴푸나 중성세제를 쓰면 안되는 이유

    (1) 금속비누류와 같은 찌든 때를 씻는데는 액체세제나 중성세제로는 어렵기 때문입니다.

         알칼리성 물질을 넣어서 완충용액을 만들어야 찌든 때를 씻을 수 있는데 액체세제에는

         배합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탄산소다나 규산소다와 같은 알칼리성 물질을 액체세제 배합에 넣을 수 없습니다.

    (2) 또 가격면에서도 액체세제용 원료값이 비싼 편입니다.

3. 울샴푸는 액체세제에 속합니다.

    분말로 된 울샴푸도 있습니다만 너무 비쌉니다.

4. 전체로 봤을때, 찌든 때로 된 빨래는 분말세제를 이용하는 편이 좋습니다.

    특히 면직물이나 마직물로 된 빨래는 분말로 된 분말세제가 편리하고 또 값이 적게 드는 편입니다.

    모직물이나 견직물 같은 동물성 섬유를 세탁할 때는

    반드시 중성세제인 울샴푸를 이용하여야 합니다.

    이 빨래를 알칼리성 세제로 빨래하면 섬유에 가수분해반응을 일으켜 섬유를 손상시킵니다.



~~~~~~~~~~~~~~~~~~~~~~~~~~~~~~~~~~~~~~~~~~~~~~~~~~~~~~~~



요약 

일상생활에서 몸을씻거나 그 밖의 섬유제품·식기·식품·금속 등 여러 가지 물건들의 기름때·먼지·그을음 등을 깨끗이 씻어내기 위한 목적으로 쓰이는 유기 및 무기화합물의 총칭. 

본문 

세척제(洗滌劑)라고도 한다. 세제는 세척대상에 따라 각각 성분이 달라지므로 종류가 많다. 표백제나 강한 산 등의 극물을 함유하는 화장실용·타일용의 세척제와 구별하고있다.BC 5000년경 이집트에서 초목의 재[灰]를 우려낸 물로 세탁한 것을 시초로, AD 150년갈리아인(Galia 人)에 의해 동물의 기름과 잿물[灰水]을 써서 비누가 제조된 후, 9세기경 프랑스의 마르세유에서 가장 우수한 비누가 제조되어 탁월한 세척력을 인정받아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몇 가지 결정적인 결함, 즉 센물이나 바닷물에서 불용성(不溶性)인 칼슘·마그네슘을 생성하면서 세척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점과, 산성용액에서 유리지방산을 만들거나 강알칼리성이어서 알칼리에 약한 섬유에 사용이제한되는 점 등의 결함을 지니고 있었다. 

19세기 말기부터 피마자유의 유지를 황산화(黃酸化)한 로트유(Rot 油)가 등장하였는데, 1930년에는 유지의 접촉환원(接觸還元)에 의한 고급 알코올을 황산에스테르화한 알킬황산에스테르염이나비누 원료인 천연유지 등의 공급 부족으로 석유를 원료로 하는 새로운 세제가 출현하였다. 1930년을 전후하여 나타나기 시작한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의 제조는 급격한 석유 생산과 섬유공업의 발달에 힘입어 크게 대두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으나, 경질 합성세제의 공해로 연질 합성세제의 공급이 시급한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1. 성질
세제는 계면활성제(界面活性劑)와 조제(助劑)로 구성되며, 세척을 목적으로사용되는 계면활성제를 세척제라고 한다. 세제의 세척작용은 주로 계면활성제의 구실에 의하는것이다. 계면활성제의 침투(浸透)·분산(分散)·유화(乳化)·기포(起泡)·흡착(吸着)·재오염방지 등 계면활성의 작용에 의해서 때를 세척물에서 분산 해리하며, 기계적인 힘에 의해 세척효과를 높인다. 즉, 세제는 피세척물에 붙어 있는때와 세척액 사이의 표면장력을 낮추어 세액의 습윤 침투작용에 의해 때를 분리시켜 미세한 입자로 분산 현탁(懸濁:suspension)시킨다. 이러한 세척작용은 계면활성제에 의해 이루어지며 화학구조는 1분자 내에 친수기(親水基:疎油基)와 소수기(疎水基:親油基)를 가지고 있고 서로의 강도는 적당한 밸런스가 취해져 있다. 

2. 종류
세제는 제조방법에 따라 비누와 합성세제로 구분되고, 성분은 계면활성제와조제로 구성된다. 성분상으로 크게 나누면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비누·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硬性인 ABS와 軟性인 LAS가 있다)·고급알코올황산에스테르염·비이온성 세제로 나눌수 있다. 또한 이는 빌더(builder:助劑)로서 가해 주는 성분의 알칼리성에 따라 중성에 가깝도록 한 것을경질(輕質:light duty) 합성세제라 하며, 주로 양모·견, 기타 합성섬유에 쓰이고, pH는 7∼8이며 탈지성이 적고 세척성이 우수하다. 보통 쓰이는 합성세제는 알칼리성이 강한중질(重質:heavy duty) 합성세제이다. 비이온성 세제계는 중성이며 센물·바닷물에 안정하고 저농도에서도 침투력·세척력이 우수하며, 거품이 많지 않아 드라이클리닝의차지 비누(charge soap)와 벤젠 비누(benzene soap)로 만들기 쉬운 용이한 이점 등이있으나, 가격이 비싸고 분말화가 쉽지 않아 대규모로 쓰이지 못한다.

용도별로 분류하면 다음 3가지가 있다. ① 화장용(化粧用):목욕용 세제(비누가 많다)·샴푸(알킬황산에스테르계)·핸드 클리너가 있다. ② 가정용:세탁용 고체비누, 분말·입상(粒狀)·액상(液狀) 합성세제로 식품·식기용 세제 등이 있다. ③ 공업용:양모·면·합성섬유 등 섬유원료에서 섬유제품에 이르기까지 정련·세척·염색 등 모든 공정에 사용된다. 드라이클리닝에서는 석유·벤젠·사염화탄소·트리클렌 등의 용제에 의한 표면탈지가 주체를 이루며 계면활성제가 첨가된다. 

3. 세탁조제
세탁조제는 세제의 세척작용을 높여줄 목적으로, 즉 계면활성제의 계면활성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세제에 배합하는 조제 또는 첨가제인데, 대개 무기염류나 유기성 호료(糊料)로서 합성세제 중에 65∼80%가 배합되어 있다. 첨가제의 종류에 따라 세제의 능력이 달라지는데, 주로 알칼리성과 pH를 높여 지방산을 중화시키고, 세제의 표면장력을 저하시켜 세척력을 높여주거나 경수의 연화(軟化), 흡착·분산·방부 작용, 대전방지·오염방지 작용, 형광표백 작용 등을 한다. 조제에는 탄산나트륨·규산나트륨·인산나트륨·CMC·형광표백제·증백제(增白劑)·색소향료가 있다. 의복용 세제는 알칼리성과 증백제를 배합하고, 식기·식품(채소·과일)용 세제는 피부보호제및 가용화제(可溶化劑)를 첨가한다. 

4. 독성과 공해
비누는 오랫동안 사용한 역사에 의해서 사람·가축에게 무해(無害)하다는 것이 증명되고 있으나, 합성세제는 독성 및 공해가 문제로 된다. 세제 사용시의 피해는 사람에 대한 직접적 피해와 환경오염에 의한 간접적 피해를 들 수 있다. 세탁이나 식기세척에 세제를 사용하거나 샴푸로 머리를 감았을 때 강한 탈지작용으로 각종 세균·곰팡이 등의 미생물이 감염되어 피부염이 유발되기 쉽고, 세제 사용 후 충분히 씻거나 헹구지 않으면 피부 또는 입으로 세제가 체내에 들어가 다른 독성물질의 독성을 더욱증강시키는 작용을 한다. 즉, 유독한 카드뮴 색소·니트로푸란·유기수은 등의 환경오염물의 독성 상승과 벤조피렌 및 4NQO(4-nitroquinoline-l-oxide)와 같은 발암성 물질의 발암성을 높이며 콜레스테롤의 흡수성을 높여 고혈압을 일으키게 한다. 동물실험 결과, ABS 세제를 계속 먹이면 태아가 기형이 되고 혈구 파괴로 용혈작용(溶血作用)을 일으켜 면역성이 감소되고, 또 위장의 각종 효소작용을 억제하여 소화기장애를 일으킨다고 한다. 기저귀의 세제오염은 유아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피부염을 일으키고, 형광표백제는 기형아를 낳게 하는 원인으로 추측되고 있다. 

세제는 용도에 맞는 것을 선택하고 사용량의 최적농도 및 최적의 온도에서 사용하여야 하며,독성을 고려해서 충분히 헹구고 세제 사용시에는 고무장갑을 착용하며 식기의 기름기제거는 되도록이면 세제를 쓰지 않고 더운물에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세식 변소의 청정용(淸淨用) 세제 사용은 오물의 적도발효(適度醱酵)를 방지하여 정화기능을 저하시킨다. ABS계 합성세제는 미생물이 분해할 수 없으므로 수질을 오염시켜 간접적인 인체오염을 가져오므로 자연분해되는 LAS계 합성세제와의 대치가 필요하다.이 때문에 1980년대에 들어서서 폐수 속에서 미생물에 의해 잘 분해된다는 LAS계로 생산이 이행하게 되었는데, 그 후의 조사에 의하여 LAS계도 ABS계와 마찬가지로 하천바닥의 히드라와 어패류의 체내에 축적되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고급알코올황산에스테르염의 안정성도 아직 확인되어 있지 않으므로 앞으로의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