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부파일 (1)

 

Windows7 하드용량 늘리기 (불필요한 파일 삭제, SSD 용량 확보)

 

서론 : 얼마전 SSD를 갈아 타고 여러가지 프로그램등을 설치 했다 직업 특성상 버쳐머신(VMWare 사용)도 큰맘먹고 SSD로 이동했다

속도는 정말 좋은데, 이런 용량의 한계에 부디친다. 용량땜시롱 120G SSD를 구매 했것만 역시 버쳐머신이 문제다 엄청 용량 잡아

먹는다. 기존에 사용하던 버쳐머신 이미지는 넉넉한 하드에서 사용하였으므로 문제가 없었고 VMWare 특성인 지정한 가상

하드용량 까지 마구잡이로 하드 용량 잡아 먹는거 가볍게 쌩까 주었는데 SSD로 이동후 쌩깔수 없는 문제가 되었다 일단은

VMWare의 가상하드를 최대한 줄여서(VMWare 가상 하드 용량 축소하는 법은 찾아봐도 없데용 아시는분 덧글쫌) 필요한 운영체제

다시 설치 했다. 하지만 부족한 하드 용량 아~ 놔~ 그리하여 쓰잘데기 없는 파일 정리 하기로 맘먹었다. 쓰잘데기 파일정리하다가

부족하지만 나의 경험을 공유하고 다음에 포멧하면 다시 찾아 댕기는 귀찬은 작업을 반복하기 싫어 포스팅 하기로 결정~~~~

이글에 나와 있는 이외에 요량을 줄일수 있으면 덧글로 남겨 주시면 포스트도 업데이트 하것습니다.

그럼 이제 용량 줄이기 고고~~~

 

사양 : CPU - Intel(R) Core(TM)2 Quad Q9400

RAM - DDR2 8Gb

SSD - OCZ AGILITY3 (120Gb)

HDD - SAMSUNG HD103SJ (1Tb)

ICH - Intel(R) ICH10R SATA-II(3Gb)

OS - Windows7 Enterprise 64비트

머 대충 사양은 이렇습니다. 참고로 SATA-II 에서도 AGILITY3(SATA-III) 제품 잘돌아 감니다 벤치마크 프로그램에서는 속도가

SATA-II다 보니 속다가 떨어지지만 체감은 그렇게 뒤쳐지는거 없습니다. 많은 분들이 테스트 결과 부팅시간을 기준으로 한다면

부팅시 10초 걸리는 시스템이면 SATA-II에서는 약 11초~12초 정도 됩니다. 1,2초를 체감 하는분은 정말 대단하신분 입니다.

 

본론 : 그럼 지금까지 정팔이가 실시한 하드용량 줄인 방법~~

여기는 윈도우를 설치하자 말자 해주면 좋다 윈도우 업데이트시에 복원지점을 만들지 않으므로 업데이트 속도도 조금 빠르다

1. 시스템 보호 설정 해제, XP부터 있던 기능인데 복원도 잘안되고 하드만 잡아 드시고 복원은 고스트라든지 전용 복구 프로그램을 사용

하므로 나에게는 전혀 필요 없다 여러분도 복원 해제하고 고스트등 다른 복구 프로그램 쓰길 권장 합니다.

- 내컴퓨터(마우스 우클릭) -> 속성 -> 시스템 보호 클릭


- 로컬 디스크(C:)(시스템) 클릭

- 구성 클릭

- 시스템 보호 해제 클릭

- 기존에 있는 복원지점 삭제를 위하여 삭제 클릭

- 확인 클릭

 

2. 색인 기능 해제, 디스크에 있는 파일들을 빨리찾기 위한 기능인데 정말로 심심하면 파일 찾기 기능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제외하곤

해제 하는것이 좋습니다.

- 원하는 디스크에서 마우스 우클릭 -> 속성 클릭

 

- 이 드라이브의 파일 속성 및 내용 색인 허용 옵션 해제

 

 

기본적인 용량 줄이기를 실시 했습니다. 지금 부터는 열심히 필요한 프로그램 및 윈도우 업데이트를 설치 합니다.

권장사항으로 필요한 프로그램 설치후 윈도우 업데이트 하길 권장 합니다. 이래야 윈도우 업데이트 하는 횟수가 그나마 줄어 들어요

아시죠 윈도우 업데이트는 한번에 안됩니다. 업데이트가 없다고 할때 까지 계속 해야 합니다 시간과의 싸움 지겨워~~~

 

3. 서비스팩을 까셨다면 아래의 명령을 실행해 줌니다, 서비스팩을 설치 하지 않은 분도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 명령 프롬프트는 반드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하시구요..

 

-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DISM /online /Cleanup-Image /SpSuperseded를 입력 합니다

 

 

 

4. Windows 자체 기능인 디스크 정리를 이용 용량 다이어트..

시작 -> 모든프로그램 -> 보조프로그램 -> 시스템 도구 -> 디스크 정리

- 프로그램 기동시 삭제할수 있는 파일들을 찾습니다.

 

 

- 삭제가능한 파일들이 나오는군요 전부선택(개인취양에 따라 선택 하세요)

Windows7에는 서비스 팩 백업 파일도 삭제 가능합니다. 저는 이미 한번 프로그램을 돌려서 0바이트로 나오는군요..

5. Windows는 항상 새로운 기능??과 보안상의 문제 및 프로그램 버그패치가 이루어 진다. 몇년전 까지만 해도 Windows만 업데이트

되었지만 지금은 Microsoft사에서 나온 프로그램들 까지 업데이트까지 된다. 편하다, 좋다, 하지만 업데이트 할라고 하면 많은 시간을

투자 해야한다. 포멧후 실시하는 업데이트란 정말 짜증난다. 미치것다 Windows갈아 업는 시간은 약1시간 미만인데 업데이트 하는

시간은 하루종일 한다 지친다 미치것다......... 여튼 업데이트 힘들다 근데 이넘이 똥도싼다 업데이트 백업시 필요한 파일들을

남겨두는데 머 일반사용자라면 필요 없는것들이다 지우자~~~~

 

- 일단은 삭제할 파일들중 숨겨진 파일들이 있습니다, 숨겨진 파일들을 볼수 있도록 옵션 변경

 

 

- 이렇게 숨겨진 파일들중 아래 파일들을 삭제 합니다, 아래 폴더중 없는 폴더도 있으며 삭제중 시스템이 사용하고 있는 파일

어저구 저쩌구 나오면 뛰어넘기 하시면 됩니다. 삭제 되는 파일만 삭제 하세요

- %windir%\ServicePackFiles : 서비스팩 설치시 백업파일 보관

- %windir%\$NTUninstallKB### : 윈도우 업데이트 백업 폴더, ###은 각 업데이트의 게시 번호(Article Number)
- %windir%\Installer : 윈도우 인스톨러(*.msi)를 통해 설치한 프로그램의 설치 원본
- %windir%\SoftwareDistribution : 일부 자동 업데이트 파일을 보관

- XP는 이런 작업을 해주는 프로그램이 있더군요 파일(xp_remove_hotfix_backup.exe) 첨부 했습니다.

 

6. MSOCache 폴더 삭제 이폴더는 쓰잘데기 없는 폴더기는 한데 쪼금 찝찝한 부분도 있다. 오피스가 설치된 정보를 남겨 두는 폴더인데

이걸 삭제 하면 오피스의 기능을 추가 및 삭제를 할수 없다. 그리고 오피스 업데이트 설치시 문제가 발생 할수도 있다, 하지만

검색 결과 그렇게 걱정할필요는 없다. 오피스설치시 모든 기능을 설치 하고 오피스 업데이트시 오피스 원본을 찾는 경우가 있는데

요건 CD가 있으면 되므로 꺙~~~ 저는 삭제, 삭제 결정은 여러분이 선택 하세요...

- 그냥 Shift + Del 하시면 시원하게 삭제 됩니다.

 

 

7. hiberfil.sys 파일 삭제 이파일은 최대 절전 모드시 메모리의 내용을 저장하는 파일입니다. 덤으로 pagefile.sys파일은 가상메모리

파일인데 이넘은 가상메모리 저장위치를 변경하거나 가상 메모리를 사용하지 않으면 이동 또는 삭제 할수 있지만(pagefile.sys 이동,

삭제 방법은 아래를 보세요) hiberfil.sys는 삭제, 이동 하는건 없다, XP는 최대 절전 모드를 사용안하면 되지만 윈도우7은 그런거

없다 그렇다고 실망은 하지마세요 명령 프롬프트에서 삭제할수 있습니다.

참고) 윈도우의 절전 방식

- 최대 절전 모드 : 메모리의 내용을 하드에 저장하고 다음 부팅시 하드에 저장된 메모리 내용 다시 메모리에 복구 하여 부팅시간

단축 하는 방식

장점 : 전원코드를 뽑는다든지 외부영향을 받지 않는다. 하드만 멀정히 살아 있으면 이전 상태로 복귀

단점 : 최대절전시 메모리 내용을 하드에 저장 하므로 최대절전시와 재부팅시 하드를 쓰고, 읽는 시간 필요

그래도 꺙~ 부팅보다는 훨신 빠름.. 설마 일반부팅 시간보다 오래 걸릴정도로 메모리를 빵빵 하게 사용

하시는분은 없것죠.

- 절전 : 말그대로 절전모드로 들어 간다 그냥 컴퓨터에 내용은 그대로 있고 전원이 꺼진다. 단 메모리에는 전원이 계속 공급 되고

있다. 메모리는 휘발성 저장장치라서 전원을 끊으면 모든 내용이 굿바이 된다. 그래서 메모리에만 전원을 공급 하고

나머지 장치는 전원을 공급 하지 않는다.

장점 : 재부팅시 아주 빠른 부팅가 가능하다

단점 : 전원코드를 뽑으면 이전에 작업 내용은 굿바이다. 최악의 경우 윈도가 망가질수도 있다.

 

- 윈도우7의 절전 방식 : 요놈 요놈 아주 좋다. 위에 있는 절전방식을 적절히 믹스 했다 자동차도 하이브리드가 있듯이 절전기능에도

하이브리드를 접목??? 했다, 절전시. 최대 절전 모드 처럼 메모리 내용을 하드에 저장하고, 절전모드 처럼

메모리만 전원을 공급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재부팅시는 메모리 내용을 우선으로 하고 전원이

빠지거나 기타 문제가 있으면 하드에 저장된 메모리 내용을 다시 복구 한다. 요래 해서 절전모드 처럼

빠른 재부팅을 할수 있으면 전원등의 문제 발생시 하드에 저장된 메모리를 복구 하므로 안전성 까지 확보

되었다. 좋은 넘이다 근디 hiberfil.sys 파일이 생성된다.

- 요로 코롬 절전시 메모리 내용을 저장하는 파일 입니다. 이넘 지울까 말까 고민하다고 SSD의 강점 빠른 부팅이 되므로

과감히 용량 확보를 위하여 절전기능을 포기 합니다.

- 명령 프롬프트를 그냥 실행 하여 명령 입력시 파일을 지울수가 없다 계정 권한 문제로 인하여 거의 대부분의 사용자는 에러

메세지를 볼수 있을것이다. 그럼 어케 할까요, 아래 처럼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 합니다.

시작 -> 모든프로그램 -> 보조프로그램 -> 명령 프롬프트(마우스 우클릭)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 명령 프로프트에서 powercfg -h off를 입력 합니다, 아래 그림처럼 에러메세지가 없다면 성공~~

 

 

8. 가상메모리 삭제 또는 이동

참고) 가상메모리란?

- 말그대고 가상(존재 하지 않는)메모리를 만듬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라고 하는것이 하드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실행

하면 메모리에 올라가서 작업을 수행 하는것입니다. 이렇듯 프로그램이 올라갈 메모리가 작으면 당근 프로그램을 실행 할수

없습니다. 비유를 하자면 메모리는 업무를 보는 책상(메모리), 하드는 책장에 보관중인 서류(프로그램) 라고 비유하면 어떠한

업무를 수행 하기 위해 책장에서 서류(프로그램)을 가져와 책상(메모리)에 펼쳐 놓구 작업을 수행 합니다. 그런데 여러 가지

업무를 동시에 수행 한다면 책상(메모리)이 서류(프로그램)들이 미어 터져서 더이상 작업을 할수 없습니다. T.T 요런 상황을

방지 하기 위하여 보조책상을 하나 만들어 줌니다. 요게 바로 가상 메모리 입니다. 그럼 의문이 하나 생기는데요 그럼 꺙~

첨부터 크다란 책상을 쓰면 되는 머가 문제냐~~ 요즘에는 큰책상(메모리) 구매 하시면 됩니다. 책상이 싸니까요, 하지만

예전에는 책상이 아주 고가품 이었습니다. 256Mb 메모리가 십만원이 넘어 가는 시절도 있었구요 더이전에는 4Mb(넘오래전

이야기인가)도 십만원이 넘어 가는 아주 삐산 넘이었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탄생 한것이 가상메모리, 하드디스크에 마치 메모리가 있는것 처럼 일정 공간을 잡아서 메모리로 사용하였고 여전히

사용중 입니다. 요즘에는 메모리가 똥값이라서 원하시는 만큼 구입 하실수 있을검니다. 저는 8Gb~~~~

장점 : 실제 존재 하는 메모리 보다 많은양의 메모리를 확보 할수 있으므로 프로그램을 동시에 많이 사용할수 있다.

단점 : 하드디스크와 메모리는 비교가 어려울 정도로 속도차이가 남니다, 굼뱅이와 위성발사용 로켓과 비교하는 정도라고

할까요 짐작 하셨듯이 메모리에 올라갈 프로그램들이 하드에 올라 가므로 속도가 느려 집니다. 많이요~~~~

지가 함~~ 얼마나 속도가 차이나나 볼려구 메모리를 가상의 하드디스크로 잡아주는 프로그램을 이용 하여 속도 측정

해보니 하드는 평균전송속도가 100Mb 근처 메모리는 1600Mb정도(기억이 가물가물 맞난 1000은 넘은거 확실함)

엑세스 타임도 하드는 평균이 15ms 메모리는 0.0001ms(역시 이것도 기억이 가물가물)

- 이렇든 요즘에는 가상메모리를 사용 하지 않고도 무리 없는 세상이 되었습니다. 다만 운영체제를 64비트를 써야 하지만요 아~

또 참고로 윈도우시스템의 32비트와 64비트를 설명 해야 하나요....... 에잉 그래 설명해드리죠 가상메모리 삭제, 이동 설명하면서

사설이 넘 길군요......... -.-

참고) 윈도우의 32비트와 64비트의 차이점 다열거 하면 넘많코 메모리 부분만 이야기 합니다.

- 32비트시스템(흔이 알고있는 윈도우XP 물론 XP도 64비트 있습니다.)은 메모리의 주소를 32비트 까지 지정할수 있습니다.

윈도우XP? 에서는 3.5G까지 사용 가능 합니다. 그이상은 꺙~ 사용할수 없습니다.

- 64비트시스템은 메모리 주소를 64비트 까지 사용 가능 합니다. 최대 16Gb까지 지원 합니다. 어~ 이상타 2진수를 아시는 분은

이상하다고 생각 하실껍니다.. 설명다하면 무지 복잡함 여튼 64비트에서는 16Gb까지 지원 합니다.

- 아고 힘들어 본론 들어감 봄니다. Windows7기준 입니다.

내컴퓨터(마우스 우클릭) -> 속성 -> 고급 시스템 설정

 

- 설능의 설정 클릭

 

- 변경 클릭

- 가상메모리 삭제 방법

- 모든 드라이브에 대한 페이징 파일 크기 자동 관리 설정 해제

- 페이징 파일 없음 선택

- 설정 클릭

- 클리하면 요런 경고 문가가 깡 예~ 클릭

- 가상메모리 이동 방법

- 모든 드라이브에 대한 페이징 파일 크기 자동 관리 설정 해제

- D: 선택

- 시스템이 관리하는 크기(실제 메모리와 같은 크기의 파일이 생성 되며 필요에 따라 파일 사이즈가 관리됨)

- 수동으로 하실려면 사용자 지정 크기 선택 하시고 처음과 최대의 크기를 지정 하면 됩니다.

 

 

9. 업데이트 및 기타 프로그램의 설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windir%\winsxs 폴더를 압축 하여 보관 합니다.

머~~ 업데이트나 프로그램 제거안할꺼다 하시는분은 꺙~ 지원도 됩니다. 설마 그런분 없죠 그래서 압축 보관 합니다.

이폴더는 설치정보가 들어 있기 때문에 압축 보관 하더라도 시스템 동작시 속도에 거의 영향이 없습니다. 또한 요즘 시스템들이 워낙

좋다 보니 무시해도될 정도 라고 할까요 그렇지만 문제점이 있습니다. 압축보관 하기 드럽게 어렵습니다. 원도우즈의 폴더권한에 대한

지식이 없으신분이 보면 눈이 팽팽~~ 돌아 갑니다. 미쳐 버림니다 용량 몇메가 아껴보고자 하기에는 상당한 노가다 입니다.

자신 없으시거나, 초보분들은 패스~ 하시는게 정신 건강에 좋습니다~~~

그럼 어디 시작해 볼까요~~~~

- 먼저 Administrator 계정을 활성 시켜 줍니다 윈도우는 기본으로 Administrator계정을 사용할수 없도록 되어있습니다.

해킹이라든지 기타 보안 문제를 위하여 Administrator 계정은 죽어 있습니다. 그분을 살려 봅시다

실행창에서 lusrmgr.msc를 입력 합니다.

 

- 좌측의 사용자 클릭

- 우측의 Administrator 마우스 우클릭(자세히 보시면 화살표가 있습니다 화살표가 있는 사용자는 사용 하지 않는 사용자 입니다.)
- 속성 클릭

- 계정 사용 안 함 클릭(그분이 환생 했습니다.)

- 확인 클릭

 

- 지금사용하고 있는 사용자를 로그오프 합니다.

- 시작 -> 시스템 종료 옆에 있는 화살표 -> 로그오프

 

- 짜잔 그분이 환생 하셨습니다. Administrator를 클릭 하여 로그온 합니다.

- 아직 멀었습니다. 1/5정도 온거 같습니다. 지금이라도 힘드신분은 패스 하세요~~~~

- %windir%\winsxs 폴더 마우스 우클릭

- 보안탭 클릭

 

- 고급 클릭

- 소유자탭 클릭

- 편집 클릭

- Administrator 선택

- 하위 컨테이너와 개체의 소유자 바꾸기 옵션 선택

- 확인 선택


- 미친듯이 소유권을 변경 합니다

- 소유권이 변경 되었다고 하네요, 어~ 창닫고 다시 열어라고 합니다.

- 확인후 다시 폴더 우클릭후 속성 클릭 하세요

- 후후후후 이게 끝이나 아닙니다. 아직 남았습니다. 근데 여기까지 오셨으면 계속 해보세요~ 화이팅

아~ 글쓰는 저도 힘이 드네요 캡쳐한거 똑바로 올라 가는지도 궁금 하네요 어지러~~~

- 계속 보안 설정을 변경 합니다. 모든창 닫으신후 다시 winsxs속성 창을 열어 봅니다.

- 보안탭 클릭

 

- 고급 클릭

 

- 사용 권한탭의, 사용권한 변경 클릭

 

- 추가 클릭

- 고급 클릭

- 사용자 또는 그룹 선택창이 확장 되었습니다
- 지금 찾기 클릭, 현재 시스템의 사용자 및 그룹등이 보입니다.
- Administrator 선택

- 확인 클릭

 

-Administrator가 선택 되었습니다. 앞의 WIN-MNT0PP433L4K는 컴퓨터의 이름 입니다 여러분의 PC이름이 나오것죠..

- 확인을 클릭하며 권한을 상세리 설정 할수 있는 대화창이 나옵니다.

- 적용대상이 이 폴더, 하위 폴더 및 파일인지 확인 하시고요

- 모든 권한 클릭

- Administrator 가 추가 되었습니다.

- 만약을 위하여 모든 하위 개체 사용 권한을 이 개체의 상속 가능한 사용 권한으로 바꾸기 선택

- 확인 클릭

- 보안을 변경 한다고 하는군요 예~ 클릭

- 경고창 예 클릭

- 다시 미친듯이 보안을 변경 합니다.

- 드디어 폴더를 압축 할수 있습니다.

- 다시 일반탭으로 이동 하셔서 고급 클릭


- 내용을 압축하여 디스크 공간 절약 선택

- 확인 클릭

- 다시 확인 클릭

- 폴더의 특성을 변경 한다고 합니다.

- 압축이 맞는지 확인 하시고요

- 이 폴더, 하위 폴더 및 파일에 변경 사항 적요 확인 하시고요

- 확인 클릭

- 특성 적용 중이라고 합니다. 성공~~~

- 오잉 이건 멍미 그냥 무시 하세요 1, 2개 압축 안한다고 무슨일 없습니다.

- T.T 멀고도 먼 압축성공 1.25Gb 공간 확보 했습니다.

- 노력에 비해서는 결과가 초라 하군요

- 흐흐흐흐 끝이 아님니다 보안을 위하여 원래 대로 Administrator 계정 죽이기 및 폴더 권한을 되돌려 줍니다.

- 다시 winsxs 폴더의 속성을 편집 합니다.

- 편집 클릭

 

- Administrator 선택후 제거 클릭

- Administrators 는 삭제 하면 안되용 절대루~~~

- Administrators 의 권한 변경 합니다.

- 모든 권한을 삭제 하고 아래 3개지만 허용 합니다.

 

- 예 클릭

- 열심히 보안을 변경 합니다.

- 이제 Administrator 계정과는 헤어질 시간 입니다.

- 로그 오프해 주세요

- 다시 원래의 사용자로 로그인 합니다.

 

- 실행창에 lusrmgr.msc를 입력 합니다.

 

- 한번 보셨죠 이번에는 반대 입니다.

 

- 이번에는 계정 사용 안 함에 체크 해줍니다.

 

- 수고 하셨습니다. 압축 끝~~~~ 입니다.

 

10. 여기 까지 오신다고 수고 하셨습니다. 이제 마지막으로 삭제된줄만 알았던 파일을 완젼히 삭제 시켜 주는 명령을 실행 합니다.

주의 사항으로 위에서 설명 하듯이 파일을 완젼히 삭제 하므로 지원진 파일들은 복구 할수 었습니다.

설마 초기 시스템 설정인데 복구가 필요한 파일이 존재 하진 않으시죠....

- 마찬가지로 명령 프롬프트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합니다.

 

- cipher /w:c: 를 입력 합니다. 마지막의 c:는 c드라이브를 뜻하며 d드라이브를 원하시면 cipher /w:d:를 입력 합니다.

거의 99%의 사용자는 c:에 윈도우를 설치 하므로 cipher /w:c: 입력 합니다.

 

 

결론 : 여기 까지 험난한 SSD 다이어트를 해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었는가 모르것습니다.

추가로 요건 쫌 찝찝 해서 하지 않은 Users Profiles, Program Files, ProgramData 폴더 위치변경 입니다

출처) 아코리(archori)님 블로그 http://blog.naver.com/archori?Redirect=Log&logNo=150086842863 입니다.

 

 

Windows 7 Move the Users and Program Files Directories To A Different Partition

http://tuts4tech.net/2009/08/05/windows-7-move-the-users-and-program-files-directories-to-a-different-partition/

After installing windows 7 you will be greeted with a user creation prompt press shift+f10 and you should get a cmd window up like in the image below (Image Link Broken then Delete Image)

  1. Copy the Users Profiles, Program Files And ProgramData Folders onto the Partition you want to use

     

     

     

  2. Delete the old folders and create links
    For Program Files:

     

     

    For the User Profiles:

     

     

    and lastly ProgramData:

     

     

    If you have any permissions issues while deleting C:\ProgramData don't worry about them just try to delete it and make the links again after first reboot

  3. Now open regedit simply by typing regedit on the cmd window
  4. To change the program files path navigate to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 and edit the ProgramFilesDir and CommonFilesDir as needed
  5. For the user profiles you'll need to go to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ProfileList and again edit the paths as needed
  6. Exit Regedit and the cmd window
  7. Continue to create your user
  8. Reboot your machine and you should be good to go

On 64-bit versions you have to make the same changes to:

HKEY_LOCAL_MACHINE\SOFTWARE\Wow6432Nod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

... and ...

HKEY_LOCAL_MACHINE\SOFTWARE\Wow6432Node\Microsoft\WindowsNT\CurrentVersion\ProfileList

 

[출처] Windows7 하드용량 늘리기(불필요한 파일 삭제, SSD 용량 확보)|작성자 정팔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