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주변에서 '배운 도둑이 더 무섭다'라는 말을 실감할 정도의 교활한 인물들을 접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자신의 배움을 이용해서 세류(世流)에 영합하는 사이비(似而非) 지식인들을 보면, 순박한 도둑보다 더 이맛살을 찡그리게 되는데, 오히려 그것이 우리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최소한의 양심(良心)이 아직은 남아있는 것 같아 그나마 다행으로 여겨집니다. 이와 같이 세류에 영합하는 중세 간신배의 대표적 행태로 표현하던 말이 곡학아세(曲學阿世)입니다. '배움[學]을 굽혀[曲] 세상[世]에 아부한다[阿]'는 의미를 지닌 曲學阿世는 과거 '지당대신(至當大臣)'들의 실상을 그대로 드러내는데, 현대의 우리 사회에서도 청렴결백(淸廉潔白)한 세상을 지향하는 차원에서 곡학아세(曲學阿世)의 폐해를 바로잡으려는 자세가 필요하리라 봅니다.
이야기의 출전은 사마천의《사기(史記)》〈유림전(儒林傳)〉이나《십팔사략(十八史略)》〈서한(西漢)〉등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다음은 배경 이야기의 줄거리입니다.
전한(前漢)의 4대 황제인 효경제(孝景帝)때 제(齊)나라 지역인 산동(山東) 출신으로 90세의 늙은 신하였으나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이든 두려워하지 않고 직언(直言)을 하는 강직한 성격을 지닌 원고(轅固)라는 사람이 박사(博士)로 등용되었습니다. 하지만 그의 곧은 언행(言行)으로 인해 자신을 비방하고 헐뜯는 자들이 많았습니다. 원고와 함께 등용된 소장학자 공손홍(公孫弘)도 원고라는 늙은 신하를 탐탁하게 여기지 않았으나, 원고는 공손홍에게 태연한 자세로 이르기를, "요즘 학(學)의 도는 어지러워지고 속설(俗說)이 유행하고 있네. 이대로 방치해두면 유서(幽緖) 깊은 학의 전통은 마침내 사설(邪說)로 말미암아 그 자취를 감추게 될 것이네. 그대는 다행히 젊고 호학(好學)의 선비라고 들었네. 부디 올바른 학문을 열심히 배워 세상을 넓히도록 노력하게. 절대로 자기가 옳다고 믿는 학설[學]을 굽혀[曲] 세상[世]의 속물들에게 아첨하지[阿] 않기를 바라네.” 공손홍은 원고의 절조를 굽히지 않는 훌륭한 인품과 풍부한 학식에 감복하여 자신의 무례함을 사과하고 그의 제자가 되었습니다. 그 후 당대의 이름 있는 시인(詩人)들은 거의 원고의 제자였다고 합니다. 《史記》〈儒林傳〉 |
절개와 지조를 꺾는 변절(變節)이라는 말을 듣는 사람들도 교묘한 변명으로 자신을 정당화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그것이 원칙과 상식에 어긋나는 변절이라면 그것은 어떤 이유로든 정당화될 수 없습니다. 그렇기에 불의(不義)에 타협하지 않는 곧은 절개로 권력과 명예 앞에서도 초연한 사람들을 접하면 저절로 존경하는 마음으로 숙연해지는 것입니다. 상식과 원칙이 통하는 사회를 위해서 항상 자기 작은 것에서부터 바로 잡아나가는 자세가 필요하리라 봅니다..
한자(漢字)의 활용(活用) |
한자 |
독음 |
한 자 어(漢字語) 예 시(例示) |
曲 |
(곡) |
1. 굽다 : 曲直(곡직), 曲線(곡선), 2. 바르지 않다 : 曲筆(곡필) 3. 곡조 : 歌曲(가곡), 作曲(작곡), 4. 동네 : 坊坊曲曲(방방곡곡) |
學 |
(학) |
배우다 : 學問(학문), 學生(학생), 敎學相長(교학상장) |
阿 |
(아) |
1. 아첨하다 : 阿附(아부), 阿諂(아첨), 2. 언덕, 3. 치우치다 |
世 |
(세) |
1.세대 : 世代(세대), 2. 세상 : 世上(세상), 世俗五戒(세속오계) | | |
|
|
<더 상세한 내용>
(1)
곡학아세(曲學阿世)
曲:굽을 곡. 學:학문 학. 阿:아첨할 아. 世:인간(세대) 세.
학문을 굽히어 세속(世俗)에 아첨한다. 정도(正道)를 벗어난 학문으로 세상 사람에게 아첨함을 이름
한(漢)나라 6대 황제인 경제(景帝:B.C. 157∼141)는 즉위하자 천하에 널리 어진 선비를 찾다가 산동(山東)에 사는 원고생(轅固生)이라는 시인을 등용하기로 했다.
그는 당시 90세의 고령이었으나 직언을 잘하는 대쪽같은 선비로 유명했다. 그래서 사이비 학자들은 원고생을 중상비방(中傷誹謗)하는 상소를 올려 그의 등용을 극력 반대했으나 경제는 끝내 듣지 않았다.
당시 원고생과 함께 등용된 소장(小壯) 학자가 있었는데, 그 역시 산동 사람으로 이름을 공손홍(公孫弘)이라고 했다. 공손홍은 원고생을 늙은이라고 깔보고 무시했지만 원고생은 전혀 개의치 않고 공손홍에게 이렇게 말했다.
"지금, 학문의 정도(正道)가 어지러워져서 속설(俗說)이 유행하고 있네. 이대로 내버려두면 유서 깊은 학문의 전통은 결국 사설(邪說)로 인해 그 본연의 모습을 잃고 말 것일세. 자네는 다행히 젊은데다가 학문을 좋아하는 선비란 말을 들었네. 그러니 부디 올바른 학문을 열심히 닦아서 세상에 널리 전파해 주기 바라네. 결코 자신이 믿는 '학설을 굽히어[曲學]'이 '세상 속물들에게 아첨하는 일[阿世]'이 있어서는 안 되네."
원고생의 말이 끝나자 공손홍은 몸둘 바를 몰랐다. 절조를 굽히지 않는 고매한 인격과 학식이 높은 원고생과 같은 눈앞의 태산북두(泰山北斗)를 보지 못한 자신이 부끄러웠기 때문이다. 공손홍은 당장 지난 날의 무례를 사과하고 원고생의 제자가 되었다고 한다.
[유사어] 어용학자(御用學者). [출전]《史記》<儒林傳>
|
(2)
[ 곡학아세(曲學阿世)]
▶ 曲 굽을 곡. 學 학문 학. 阿 아첨할 아. 世 인간, 세대 세.
▶ 학문을 굽히어 세속(世俗)에 아첨한다는 뜻으로,
정도(正道)를 벗어난 학문으로 세상 사람들에게 아첨함.
▶ 한(漢)나라 6대 황제인 경제(景帝:B.C 157-141)는
즉위하자 천하에 널리 어진 선비를 찾다가
산동(山東)에 사는 원고생(轅固生)이라는
시인을 등용하기로 했다.
그는 당시 90세의 고령이었으나 직언을 잘하는
대쪽 같은 선비로도 유명했다.
그래서 사이비(似而非) 학자들은 원고생을
중상비방(中傷誹謗)하는 상소를 올려
그의 등용을 극력 반대하였으나 경제는 끝내 듣지 않았다.
당시 원고생과 함께 등용된 소장(少壯) 학자가 있었는데,
그 역시 산동 사람으로 이름을 공손홍(公孫弘)이라고 했다.
공손홍(公孫弘)은 원고생을 늙은이라고 깔보고 무시했지만
원고생은 전혀 개의치 않고 공손홍(公孫弘)에게 이렇게 말했다.
"지금, 학문의 정도(正道)가 어지러워져서
속설(俗說)이 유행하고 있네. 이대로 내버려 두면
유서 깊은 학문의 전통은 결국 사설(私設)로 인해
그 본연의 모습을 잃고 말 것일세.
자네는 다행히 젊은 데다가 학문을 좋아하는
선비란 말을 들었네. 그러니 부디 올바른 학 문을
열심히 닦아서 세상에 널리 전파해 주기 바라네.
결코 자신이 믿는 '학설을 굽히어 [曲學]' 이
'세상 속물들에게 아첨하는 일[阿世]'이 있어서는 안 되네."
원고생의 말이 끝나자 공손홍은 몸둘 바를 몰랐다.
절조를 굽히지 않는 고매한 인격과 학식이 높은 원고생과
같은 눈앞의 태산북두(泰山北斗)를 알아 보지
못한 자신이 부끄러 웠기 때문이다.
공손홍은 당장 지난날의 무례를 사과하고
원고생의 제자가 되었다고 한다.
固之徵也 薛人公孫弘亦徵 側目而視固 固曰
公孫子務正學以言 無曲學以阿世.
[출전] 사기(史記) 유림전(儒林傳),
십팔사략(十八史略), 서한(西漢)
▶ [참조] 어용학자(御用學者)
(3)
<曲 學 阿 世 (곡학아세)>
【한자】굽을 곡 / 배울 학 / 언덕 아 / 대 세
【의미】 배움을 굽혀 세상에 아부한다는 뜻으로,
정도에 벗어난 학문으로 세상 사람들에게 아부한다는 의미.
【관련어】
▶ 至當大臣 (지당대신):
간언이 없이 무조건 지극히 당연하다고만 하는
간신배[奸臣賊子(간신적자)]
【반의어】
▶ 淸廉潔白 (청렴결백):
성품이 고결하고 탐욕이 없이 깨끗함.
【字義】
⊙ 學(학) 일반적으로 양손으로 아이가 본받는다[爻]는
의미에서 가르침을 받아 무지에서 벗어난다는 의미의 '
배우다'는 뜻 생성.
⊙ 阿(아) 본래 '언덕'의 의미인데, 후에 굽은 성질에
의해 '아부하다'는 의미 파생.
⊙ 世(세) '十(십)'자를 세 번 써[十十十] 30년의 의미인데,
한 세대가 30년 정도이기 때문에 '세대','세상'의 의미 도출.
(4)
[곡학아세](曲學阿世) |
<학문을 굽히어 세속(世俗)에 아첨한다는 뜻으로, 정도(正道)를 벗어난 학문으로 세상 사람에게 아첨함을 이르는 말. >
[曲 굽을 곡/學 학문 학/阿 아첨할 아/世 인간 세대 세]
[유사어] 어용학자(御用學者). [출전]《史記》〈儒林傳〉
한(漢)나라 6대 황제인 경제(景帝:B.C. 157∼141)는 즉위하자 천하에 널리 어진 선비를 찾다가 산동(山東)에 사는 원고생(轅固生)이라는 시인을 등용하기로 했다. 그는 당시 90세의 고령이었으나 직언을 잘하는 대쪽같은 선비로도 유명했다. 그래서 사이비 학자들은 원고생을 중상비방(中傷誹謗)하는 상소를 올려 그의 등용을 극력 반대했으나 경제는 끝내 듣지 않았다. 당시 원고생과 함께 등용된 소장(小壯) 학자가 있었는데, 그 역시 산동 사람으로 이름을 공손홍(公孫弘)이라고 했다. 공손홍은 원고생을 늙은이라고 깔보고 무시했지만 원고생은 전혀 개의치 않고 공손홍에게 이렇게 말했다. "지금, 학문의 정도(正道)가 어지러워져서 속설(俗說)이 유행하고 있네. 이대로 내버려두면 유서 깊은 학문의 전통은 결국 사설(邪說)로 인해 그 본연의 모습을 잃고 말 것일세. 자네는 다행히 젊은데다가 학문을 좋아하는 선비란 말을 들었네. 그러니 부디 올바른 학문을 열심히 닦아서 세상에 널리 전파해 주기 바라네. 결코 자신이 믿는 '학설을 굽히어[曲學]'이 '세상 속물들에게 아첨하는 일[阿世]'이 있어서는 안 되네." 원고생의 말이 끝나자 공손홍은 몸둘 바를 몰랐다. 절조를 굽히지 않는 고매한 인격과 학식이 높은 원고생과 같은 눈앞의 태산북두(泰山北斗)를 보지 못한 자신이 부끄러웠기 때문이다. 공손홍은 당장 지난 날의 무례를 사과하고 원고생의 제자가 되었다고 한다.
|
|
1-曲

|

|
 |
 |
굽을 곡 | |
 |
 |
굽을, 굽히다, 자세하다, 옳지 않다, 사악하다, 휘게 하다, 가락, 악곡, 재주, 곡선 | |
 |
 |
(가로 왈) , 2 | |
 |
 |
曲線(곡선) : 구부러진 선. 作曲(작곡) : 악곡을 지음. 음악을 만듦. | | |
 |
 |
1. |
그림의 曲線(곡선)으로 이뤄진 부분은 가위를 자르지 마세요. |
2. |
안익태 선생은 애국가를 作曲(작곡)하였다. | | |
 |
 |
속이 둥글게 되어 있는 그릇의 모양을 본 뜬 글자. 그래서 곧지 아니한 것. 곧 '굽다'의 뜻을 나타냄. 상형
| |
 | |
2-學
|
|
|
 |
배울 학 | |

|
 |
배우다, 학문, 학교 | |

|
 |
(아들 자) , 13 | |

|
 |
學說(학설) : 학문상 주장하는 이론. 學校(학교) : 학예를 가르치고 배우는 곳. | | |

|
 |
1. |
그 학자의 學說(학설)은 사람들이 인정하지 않는다. |
2. |
우리 學校(학교)는 다음 주 방학을 할 예정이다. | | |

|

|
臼(양손 잡을 국:음과 뜻에 관련되는 부분)+爻(본받을 효:뜻에 관련되는 부분)+ (덮을 멱:뜻에 관련되는 부분)+子(아들 자:뜻에 관련되는 부분). 사리에 어두운[ ] 아이들[子]이 양손에 책을 잡고[臼] 스승의 가르침을 본받으며[爻] '배운다'는 뜻으로 된 글자. 형성
3-阿
[뜻.음]:아첨할 아.언덕 아.호칭 옥
[의미]:언덕.구석.산비탈.산기슭.물가.기울다.비스듬하다.굽다.아첨하다.
 |
 |
(언덕 부) , 5 |
[단어]:
[아공(阿公)]:시아버지.할아버지
[아구(阿丘)]:한쪽만이 높은 언덕
[아녀(阿女)]:딸
[아매(阿妹)]:누이동생을 정답게 이르는 말.
[아몽(阿蒙)]:어린아이
[아읍(阿邑)]:아첨하고 영합하는 일.
[아파(阿婆)]:나이먹은 부인.늙은 부인.
|
4-世
|
 |
 |
인간 세 | |
 |
 |
세상, 세대, 평생 | |
 |
 |
(한 일) , 4 | |
 |
 |
世紀(세기) : 연대, 시대. 서력에서 100년을 한 기간으로 세는 단위. 世界(세계) : 온 세상. | | |
 |
 |
1. |
우리가 살아가는 21世紀(세기)에는 컴퓨터로 모든 일이 처리될 것이다. |
2. |
世界(세계)를 위해 우리가 할 일을 생각해 보자. | | |
 |
 |
世는 열 십[十]을 세 번 합쳐 끝의 한 획을 모로 길게 한 글자임. 인생의 전성기는 30년이라는 표현으로 '세대','인간'의 뜻으로 쓰임. 지사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