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 등지고() 구축한(之) 진지(陣)

죽음을 각오하고 어떤 일에 임함. 또는 목숨을 걸고 일의 성패(成敗)를 결정함.
[다른 뜻]

적과의 싸움에서 강, 호수, 바다 따위를 등지고 치는 진(陣), 뒤로 물러설 수 없이 용감하게 나아가 싸우도록 하자는 것이 목적. 배수진(背水陣)이라고도 한다.
① (물러설 수 없도록)물을 등지고 적을 치는 전법의 하나.
② 목숨을 걸고 싸우는 경우의 비유.

한나라 고조 유방(劉邦)이 황제의 자리에 오르기 2년 전 명장 한신(韓信)은조(趙)나라로 쳐들어갔다. 그러자 조나라에서는 20만의 군사를 동원하여 조나라로 들어오는 길목에 방어선을 폈다. 한신은 1만여 군사를 좁은 길 입구 쪽으로 보내어 강을 등지고 진을 치게 한 다음 자신은 본대를 이끌고 성채를 향해 나아갔다. 한나라 군사가 북을 울리며 진격하자 조나라 군사는 성채를 나와 응전했지만, 한나라 군대는 필사적으로 싸워 전쟁은 한신의 승리로 끝났다. 장수들이 한신에게 배수진을 친 이유를 묻자 이렇게 대답했다. '오합지졸(烏合之卒)은 사지(死地)에 두어야만 필사적으로 싸운다. 우리군사는 오합지졸이었으므로 배수진을 친 것이었다.'

 
<더 상세한 내용>
(1)
 

배수지진 背水之陣◑

▶ 背 등 배. 水 물 수. 之 갈 지(…의). 陣 진칠 진.

▶ 적과의 싸움에서 강, 호수, 바다 따위를 등지고 치는 진(陣), 뒤로 물러설 수 없이 용감하게 나아가 싸우도록 하자는 것이 목적. 배수진(背水陣)이라고도 한다.
① (물러설 수 없도록)물을 등지고 적을 치는 전법의 하나.
② 목숨을 걸고 싸우는 경우의 비유.

“적과 싸울 때 강이나 바다를 등지고 친 진”이란 말로, 한신이 초나라의 군대와 싸울 때 시용한 진법에서 유래하여 목숨을 걸고 어떤 일에 대처하는 경우를 비유한 말이다.

▶ 한나라 고조 유방(劉邦)이 제위(帝位)에 오르기 2년 전(BC 204)의 일이다.

명장 한신(韓信)은 유방의 명에 따라 위(魏)나라를 쳐부순 다음 조(趙)나라로 쳐들어 갔다.

그러자 조나라에서는 20만의 군사를 동원하여 조나라로 들어오는 길목인 정형(井?)의 협도(狹道) 출구 쪽에 성채(城砦)를 구축하고 방어선을 폈다.

이에 앞서 군략가인 아좌거(李左車)가 재상 진여(陳餘)에게 '한나라 군사가 협도를 통과 할 때 들이치자'고 건의했으나 채택되지 않았는데, 첩자를 통해 이 사실을 알게 된 한신은 서둘러 협도를 통과하다가 출구를 10리쯤 앞둔 곳에서 일단 행군을 멈췄다.

이윽고 밤이 깊어지자 한신은 2,000여 기병을 조나라의 성채 바로 뒷산에 매복시키기로 하고 매복 임무를 맡은 장수에게 이렇게 명했다.

"본대(本隊)는 내일 싸움에서 거짓 패주(敗走)할 것이다. 그 때 제군들은 적이 비운 성 채를 점령한 뒤 한나라 깃발을 세우도록 하라."

그리고 한신은 1만여 군사를 협도 출구 쪽으로 보내어 '강을 등지고 진을 치게[背水之陣]' 한 다음 자신은 본대를 이끌고 성채를 향해 나아갔다.

이윽고 날이 밝았다. 한나라 군사가 북을 울리며 진격하자 조나라 군사는 성채를 나와 응전했다. 2-3차 접전 끝에 한나라 군사는 퇴각하여 강가에 진을 친 부대에 합류했고, 승세(勝勢)를 탄 조나라 군사는 맹렬히 추격해 왔다.

한편 이러한 틈에 매복하고 있던 2,000 여 한나라 기병대는 성채를 점령하고 한나라 깃발을 세웠다.

강을 등지고 진을 친 한나라 군사는 물러나지도 못하는 상황인지라 필사적으로 대항하여 싸웠다. 이에 견디지 못한 조 나라 군사가 성채로 돌아와 보니, 한나라 깃발이 나부끼고 있지 않는가. 당연히 전쟁은 한신의 대승리로 끝났다.

전승 축하연 때 부하 장수들이 배수진(背水陣)을 친 이유를 묻자 한신은 이렇게 대답했다.

"우리 군사는 이번에 급히 편성한 오합지졸(烏合之卒)이 아닌가? 이런 군사는 사지(死 地)에 두어야만 필사적으로 싸우는 법이다. 그래서 '강을 등지고 진을 친 것[背水之陣]'이다."

[출전] '史記' 淮陰侯列傳 / 十八史略

▶ 물을 등에 없고 진을 친다. 어떤 일에서의 있어서의 비장한 각오.

한신이 조나라와 싸울때 사용. 조조 등 삼국지 시대의 장수들에게도 많이 사용되었다.

[출전] 삼국지(三國誌)에서

[유] 捨量沈舟(사량침주) : 식량을 버리고 배를 침몰시키다.
       濟河焚舟(제하분주) : 물을 건너고 나서 그 배를 불사르다.
       釜釜沈舟(파부침주) : 솥을 깨뜨리고 타고 간 배를 침몰시키다.

[동] 배수진(背水陣)  

 

(2)

배수지진(背水之陣)

 적과 싸울 때 강이나 바다를 등지고 친 진이란 말로, 한신이 초나라의 군대와 싸울 때 시용한 진법에서 유래하여 목숨을 걸고 어떤 일에 대처하는 경우를 비유한 말이다.

[背 등 배/水 물 수/之 갈 지(…의)/陣 진칠 진]

[동의어] 배수진(背水陣). [참조] 천려일실(千慮一失).
[출전]《史記》〈准陰侯列傳〉.《十八史略》〈漢太祖高皇帝〉
한나라 고조 유방(劉邦)이 제위에 오르기 2년 전(B.C.204)의 일이다. 명장 한신(韓信)은 유방의 명에 따라 위(魏)나라를 쳐부순 다음 조(趙)나라로 쳐들어갔다.
그러자 조나라에서는 20만의 군사를 동원하여 조나라로 들어오는 길목인 정형(井 )의 협도(狹道) 출구 쪽에 성채(城砦)를 구축하고 방어선을 폈다. 이에 앞서 군략가인 이좌거(李左車)가 재상 진여(陳餘)에게 '한나라 군사가 협도를 통과할 때 들이치자'고 건의했으나 채택되지 않았다.
간첩을 통해 이 사실을 안 한신은 서둘러 협도를 통과하다가 출구를 10리쯤 앞둔 곳에서 일단 행군을 멈췄다. 이윽고 밤이 깊어지자 한신은 2000여 기병을 조나라의 성채 바로 뒷산에 매복시키기로 하고 이렇게 명했다.
"본대(本隊)는 내일 싸움에서 거짓 패주(敗走)한다. 그러면 적군은 패주하는 아군을 추적하려고 성채를 비울 것이다. 그때 제군은 성채를 점령하고 한나라 깃발을 세우도록 하라."
그리고 한신은 1만여 군사를 협도 출구 쪽으로 보내어 강을 등지고 진을 치게 한 다음 자신은 본대를 이끌고 성채를 향해 나아갔다.
이윽고 날이 밝았다. 한나라 군사가 북을 울리며 진격하자 조나라 군사는 성채를 나와 응전했다. 2,3차 접전 끝에 한나라 군사는 퇴각하여 강가에 진을 친 부대에 합류했고, 승세(勝勢)를 탄 조나라 군사는 맹렬히 추격했다. 그 틈에 2000여 기병대는 성채를 점령하고 한나라 깃발을 세웠다. 강을 등진 한나라 군사는 필사적으로 싸웠다. 이에 견디지 못한 조나라 군사가 성채로 돌아와 보니 한나라 깃발이 나부끼고 있지 않은가. 전쟁은 한신의 대승리로 끝났다. 전승 축하연 때 부하 장수들이 배수진을 친 이유를 묻자 한신을 이렇게 대답했다.
"우리 군사는 이번에 급히 편성한 오합지졸(烏合之卒)이 아닌가? 이런 군사는 사지(死地)에 두어야만 필사적으로 싸우는 법이야. 그래서 '강을 등지고 진을 친 것[背水之陣]'이네."

1-背

 

 
등 배
등, 뒤, 등지다, 어기다, 배반하다.
  (고기 육) , 5
背景(배경) :  뒤쪽의 경치. 그림·사진 등에서 뒤편에 펼쳐진 부분.
違背(위배) : 약속이나 명령 따위를 어기거나 지키지 아니함.
1. 사진의 背景(배경)은 참 아름답다.
2. 그러한 행동은 법률에 違背(위배)되는 것이다.
背恩忘德(배은망덕)
背水之陣(배수지진)

北(배반할 배: 음에 관련되는 부분) + (肉 고기 육: 뜻에 관련되는 부분). 北자는 반대. 은 사람의 몸의 일부이므로 배의 반대되는 위치에 있는 '등'을 가리킴. 나아가 '등지다'. '어기다' 등의 뜻으로 쓰임. 형성

 

2-水

 

물 수
물, 내, 호수, 바다, 홍수, 수성, 국물
  (물 수) , 0
水面(수면) : 물의 표면.
生水(생수) : 끓이거나 소독하지 않은 물.
1. 해가 水面(수면)을 붉게 물들이고 있다.
2. 강물이 오염되자 生水(생수)의 판매가 증가하였다.
水魚之交 (수어지교)
水는 시냇물이 흐르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시냇물이 흐르고 있는 모양을 나타내어 '물'의 뜻으로 쓰임. 상형

3-之

갈 지
가다, 그것, ~의(어조사)
  (삐칠 별) , 3
人之常情(인지상정) : 사람이면 누구나 가지는 보통 인정.
漁父之利(어부지리) : 힘들이지 않고 제3자가 이익을 취함.
1. 불쌍한 사람을 보면 측은한 마음이 드는 것은 人之常情(인지상정)이다.
2. 그는 경쟁자가 다른 곳으로 가는 바람에 漁父之利(어부지리)로 회사에 취직한 셈이다.
풀의 싹이 땅 위로 뻗어 나가는 것을 가리켜 '가다'의 뜻이 된 글자임. 지사

4-陣

진칠 진
진치다, 싸우다, 베풀다, 벌이다.
  (언덕 부) , 7
陣地(진지) : 진을 친 터.
陣營(진영) : 대립하는 세력의 어느 한 쪽.
1. 적의 陣地(진지)를 향하여 돌진했다.
2. 우리 陣營(진영)에서는 반장을 대표로 내보내기로 하였다.
언덕[ ]을 의지하여 전차[車]를 세워놓고 '진을 친다'는 의미의 글자. 회의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