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한다. 글이나 말에 의하지 않고 서로 마음이 통하다.
[拈 집을 념(점)/華 빛날 화,꽃 화/微 작을 미/笑 웃을 소]
[내용]석가모니가 가섭(迦葉)에게 세 곳에서 불교의 진수(眞髓)를 전했다[三處傳心].불교 선종(禪宗)의 근본적인 선지(禪旨)인데, 이는 다자탑전분반좌(多子塔前分半座), 영산회상거염화(靈山會上擧拈花), 사라쌍수곽시쌍부(沙羅雙樹槨示雙趺)라는 용어로 표현되고 있다.
① 다자탑전분반좌:다자탑은 중인도 비사리성(毘舍離城) 북서쪽에 있다. 이 탑은 어떤 장자(長者)가 산에 들어가서 도를 닦아 깨달은 뒤에, 그의 아들딸 60명이 아버지가 공부하던 곳을 기념하기 위하여 세운 것이라고 한다. 석가가 그 곳에서 설법하고 있을 때 가섭이 누더기를 입고 뒤늦게 오자 여러 제자들이 그를 얕보았다고 한다. 그러자 석가는 자기가 앉아 있던 자리 절반을 가섭에게 양보하여 거기 함께 앉도록 하였다. 이것이 첫 번째로 마음을 전한 것이다.
② 영산회상거염화:석가가 중인도 왕사성(王舍城) 북동쪽 10리 지점에 있는 영취산(靈鷲山)에서 설법을 하고 있을 때 하늘에서 꽃비가 내렸다. 석가가 그 꽃송이 하나를 들어 보이자, 제자들이 모두 무슨 뜻인지를 몰라 어리둥절해 하는데 가섭만은 빙그레 웃었다. 이에 스승은 “바른 법, 열반의 묘한 마음을 가섭에게 전한다”고 선포하였다.
③ 사라쌍수곽시쌍부:석가가 북인도 쿠시나가라성[拘尸羅城] 북서쪽의 사라수(沙羅樹) 여덟 그루가 둘씩 마주서 있는 사이에 침대를 놓게 하고 열반(涅槃)하자, 그 숲이 하얗게 변하였다. 가섭이 스승의 관 주위를 세 번 돌고 세 번 절하자, 관 속으로부터 두 발을 밖으로 내밀어 보였다는 것이다. 선종에서는 이를 교외별전(敎外別傳)의 유일한 근거라고 하여 매우 중요시한다.
(2)
◐ 염화미소(拈華微笑). 염화시중(拈華示衆) ◑
▶ 석가께서 꽃을 드신 뜻을 알고 미소를 지음. 석가가 연꽃을 보이자 제자 중에서 마하가섭만 미소 지음. 이심전심의 경지를 이름.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한다. 글이나 말에 의하지 않고 서로 마음이 통하다.
▶ 拈 : 집을 념(점) / 華 : 빛날 화, 꽃 화 / 微 : 작을 미 / 笑 : 웃을 소
▶ 염화시중(拈花示衆)이라고도 한다. 선종에서 선(禪)의 기원을 설명하기 위해 전하는 이야기로서 《대범천왕문불결의경(大梵天王問佛決疑經)》에 기록되어 있다.
영산(靈山)에서 범왕(梵王)이 석가에게 설법을 청하며 연꽃을 바치자, 석가가 연꽃을 들어 대중들에게 보였다.
사람들은 그것이 무슨 뜻인지 깨닫지 못하였으나, 가섭(迦葉)만은 참뜻을 깨닫고 미소를 지었고 이에 석가는 가섭에게, 정법안장(正法眼藏 :사람이 본래 갖추고 있는 마음의 묘한 덕)과 열반묘심(涅槃妙心 :번뇌와 미망에서 벗어나 진리를 깨닫는 마음), 실상무상(實相無相 :생멸계를 떠난 불변의 진리), 미묘법문(微妙法門 :진리를 깨닫는 마음) 등의 불교 진리를 전해 주었다.
즉 말을 하지 않고도 마음과 마음이 통하여 깨달음을 얻게 된다는 뜻으로, 선 수행의 근거와 방향을 제시하는 중요한 화두이다.
▶ 석가모니가 가섭(迦葉)에게 세 곳에서 불교의 진수(眞髓)를 전했다(三處傳心). 불교 선종(禪宗)의 근본적인 선지(禪旨)인데, 이는 다자탑전분반좌(多子塔前分半座), 영산회상거염화(靈山會上擧拈花), 사라쌍수곽시쌍부(沙羅雙樹槨示雙趺)라는 용어로 표현되고 있다.
① 다자탑전분반좌 : 다자탑은 중인도 비사리성(毘舍離城) 북서쪽에 있다. 이 탑은 어떤 장자(長者)가 산에 들어가서 도를 닦아 깨달은 뒤에, 그의 아들딸 60명이 아버지가 공부하던 곳을 기념하기 위하여 세운 것이라고 한다. 석가가 그 곳에서 설법하고 있을 때 가섭이 누더기를 입고 뒤늦게 오자 여러 제자들이 그를 얕보았다고 한다. 그러자 석가는 자기가 앉아 있던 자리 절반을 가섭에게 양보하여 거기 함께 앉도록 하였다. 이것이 첫 번째로 마음을 전한 것이다.
② 영산회상거염화 : 석가가 중인도 왕사성(王舍城) 북동쪽 10리 지점에 있는 영취산(靈鷲山)에서 설법을 하고 있을 때 하늘에서 꽃비가 내렸다. 석가가 그 꽃송이 하나를 들어 보이자, 제자들이 모두 무슨 뜻인지를 몰라 어리둥절해 하는데 가섭만은 빙그레 웃었다. 이에 스승은 "바른 법, 열반의 묘한 마음을 가섭에게 전한다."고 선포하였다.
③ 사라쌍수곽시쌍부 : 석가가 북인도 쿠시나가라성(拘尸羅城) 북서쪽의 사라수(沙羅樹) 여덟 그루가 둘씩 마주서 있는 사이에 침대를 놓게 하고 열반(涅槃)하자, 그 숲이 하얗게 변하였다. 가섭이 스승의 관 주위를 세 번 돌고 세 번 절하자, 관 속으로부터 두 발을 밖으로 내밀어 보였다는 것이다. 선종에서는 이를 교외별전(敎外別傳)의 유일한 근거라고 하여 매우 중요시한다.
▶ 동의어 : 불립문자(不立文字), 교외별전(敎外別傳), 이심전심(以心傳心) : 경전이나 언어 등에 의하지 않고 마음으로 통하는 것.
-----> 이심전심( 以心傳心)
(3)
拈 華 微 笑 [집을 념(점) / 빛날 화,꽃 화 / 작을 미 / 웃을 소 ]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한다. 글이나 말에 의하지 않고 서로 마음이 통하다. [동]不立文字(불립문자)./ 敎外別傳(교외별전)/ 이심전심 以心傳心 : 경전이나 언어 등에 의하지 않고 마음으로 통하는 것.
[내용]석가모니가 가섭(迦葉)에게 세 곳에서 불교의 진수(眞髓)를 전했다[三處傳心].불교 선종(禪宗)의 근본적인 선지(禪旨)인데, 이는 다자탑전분반좌(多子塔前分半座), 영산회상거염화(靈山會上擧拈花), 사라쌍수곽시쌍부(沙羅雙樹槨示雙趺)라는 용어로 표현되고 있다.
① 다자탑전분반좌:다자탑은 중인도 비사리성(毘舍離城) 북서쪽에 있다. 이 탑은 어떤 장자(長者)가 산에 들어가서 도를 닦아 깨달은 뒤에, 그의 아들딸 60명이 아버지가 공부하던 곳을 기념하기 위하여 세운 것이라고 한다. 석가가 그 곳에서 설법하고 있을 때 가섭이 누더기를 입고 뒤늦게 오자 여러 제자들이 그를 얕보았다고 한다. 그러자 석가는 자기가 앉아 있던 자리 절반을 가섭에게 양보하여 거기 함께 앉도록 하였다. 이것이 첫 번째로 마음을 전한 것이다.
② 영산회상거염화:석가가 중인도 왕사성(王舍城) 북동쪽 10리 지점에 있는 영취산(靈鷲山)에서 설법을 하고 있을 때 하늘에서 꽃비가 내렸다. 석가가 그 꽃송이 하나를 들어 보이자, 제자들이 모두 무슨 뜻인지를 몰라 어리둥절해 하는데 가섭만은 빙그레 웃었다. 이에 스승은 “바른 법, 열반의 묘한 마음을 가섭에게 전한다”고 선포하였다.
③ 사라쌍수곽시쌍부:석가가 북인도 쿠시나가라성[拘尸羅城] 북서쪽의 사라수(沙羅樹) 여덟 그루가 둘씩 마주서 있는 사이에 침대를 놓게 하고 열반(涅槃)하자, 그 숲이 하얗게 변하였다. 가섭이 스승의 관 주위를 세 번 돌고 세 번 절하자, 관 속으로부터 두 발을 밖으로 내밀어 보였다는 것이다. 선종에서는 이를 교외별전(敎外別傳)의 유일한 근거라고 하여 매우 중요시한다.
|
1-拈
[뜻,음]:(집을/점:념)
[의미]:집다.손가락으로 집어 비틀다.집어들다.
[단어]:1)염출(拈出):집어냄.끄집어 냄.자구(字句)를 생각
해 냄.
2)염향(拈香):향을 피움.
3)염화미소(拈華微笑)
2-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