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무()에 올라가() 물고기(魚)를 구한다()

나무(木)에 올라가(緣) 물고기(魚)를 구한다(求)

목적이나 수단이 일치하지 않아 성공이 불가능함.
[다른 뜻]

 도저히 불가능한 (가당찮은) 일을 하려 함의 비유.
② 목적이나 수단이 일치하지 않아 성공이 불가능하다. 또는 허술한 계책으로 큰 일을 도모한다.
③ 수고만 하고 아무것도 얻지 못함의 비유.

중국 전국 시대 때, 양(梁)나라 혜왕(惠王)과 작별한 맹자(孟子)는 제(齊)나라로 갔다. 당시 나이 50이 넘는 맹자는 제후들을 찾아다니며, 인의(仁義)로 세상을 다스리라는 왕도정치론(王道政治論)을 펼치고 있으면서, 제나라의 선왕(宣王)만큼은 어질게 나라를 다스릴 것이라고 믿고 있었다. 그런데 선왕이 천하를 통일하겠다는 욕심을 품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맹자(孟子)는 그것이 옳지 않다고 판단되어 선왕을 찾아갔다. "왕께서는 영토를 크게 확장하여 진(秦), 초(楚)와 같은 큰 나라를 굴복시키고 중국에 군림하여 이민족들을 진압하기를 원하고 계십니다. 그러나 전쟁을 일으켜 그 욕망을 달성하시려고 한다면 그것은 무리입니다. 마치 나무에 올라가 물고기를 잡으려는 것과 같습니다."라고 말하였다. 그 말을 들은 선왕은 "그토록 터무니없는 일입니까?"하고 물었다. 이에 맹자는 "그 정도가 아닙니다. 그보다도 더 터무니없는 일일 것입니다. 나무에 올라가 물고기를 잡으려는 짓은 비록 물고기를 잡지 못한다 하더라도 후환은 없을 것입니다. 만약 전쟁으로 바라는 것을 얻고자 한다면 전심전력을 다한다고 해도 이후에 반드시 재앙이 있을 것입니다"라고 대답하였다.

 

 

<더 상세한 내용>

 

 

 

(1)

연목구어(緣木求魚)

:인연 인할 연. :나무 목. :구할 구. :고기 어.

나무에 올라 물고기를 구한다는 뜻. 곧 ① 도저히 불가능한(가당찮은) 일을 하려 함의 비유. ② 잘못된 방법으로 목적을 이루려 함의 비유. ③ 수고만 하고 아무것도 얻지 못함의 비유.

전국 시대인 주()나라 신정왕(愼 王) 3(B.C. 318), (:)나라 혜왕(惠王)과 작별한 맹자(孟子)는 제()나라로 갔다. 당시 나이 50이 넘는 맹자는 제후들을 찾아다니며 인의(仁義)를 치세의 근본으로 삼는 왕도정치론(王道政治論)을 유세(遊說)중이었다.

동쪽의 제나라는 서쪽의 진()나라, 남쪽이 초()나라와 함께 대국이었고 또 선왕(宣王)도 역량 있는 명군이었다. 그래서 맹자는 그 점에 기대를 걸고 있었다. 그러나 시대가 요구하는 것은 왕도정치가 아니라 무력과 책략을 수단으로 하는 패도정치(覇道政治)였으므로, 선왕은 맹자에게 이렇게 청했다.

"춘추 시대의 패자(覇者)였던 제나라 환공(桓公)과 진()나라 문공(文公)의 패업()에 대해 듣고 싶소."

"
전하께서는 패도에 따른 전쟁으로 백성이 목숨을 잃고, 또 이웃 나라 제후들과 원수가 되기를 원하시옵니까
?"
"
원하지 않소. 그러나 과인에겐 대망(大望)이 있소."

"전하의 대망이란 무엇이오니까?"
선왕은 웃기만 할 뿐 입을 열려고 하지 않았다. 맹자 앞에서 패도를 논하기가 쑥스러웠기 때문이다. 그래서 맹자는 짐짓 이런 질문을 던져 선왕의 대답을 유도했다.

"전하, 맛있는 음식과 따뜻한 옷이, 아니면 아름다운 색이 부족하시기 때문이오니까?"
"
과인에겐 그런 사소한 욕망은 없소."

선왕이 맹자의 교묘한 화술에 끌려들자 맹자는 다그치듯 말했다.
"
그러시다면 전하의 대망은 천하통일을 하시고 사방의 오랑캐들까지 복종케 하시려는 것이 아니오니까? 하오나 종래의 방법(무력)으로 그것(천하통일)을 이루려 하시는 것은 마치 '나무에 올라 물고기를 구하는 것[緣木求魚]'과 같사옵니다."

'잘못된 방법(무력)으론 목적(천하통일)은 이룰 수 없다'는 말을 듣자 선왕은 깜짝 놀라서 물었다.
"
아니, 그토록 무리한 일이오
?"
"
오히려 그보다 더 심하나이다. 나무에 올라 물고기를 구하는 일은 물고기만 구하지 못할 뿐 후난(後難)은 없나이다. 하오나 패도를 쫓다가 실패하는 날에는 나라가 멸망하는 재난을 면치 못할 것이옵니다."

선왕은 맹자의 왕도 정치론을 진지하게 경청했다고 한다.

[유사어]지천사어(指天射魚) [출전]《孟子》<梁惠王篇> 

 

 

 

 

    (2)


연목구어 緣木求魚◑

▶ 나무에 올라 물고기를 구한다는 뜻.
① 도저히 불가능한 (가당찮은) 일을 하려 함의 비유.
② 목적이나 수단이 일치하지 않아 성공이 불가능하다. 또는 허술한 계책으로 큰 일을 도모한다.
③ 수고만 하고 아무것도 얻지 못함의 비유.

▶ 전국시대인 주(周)나라 신정왕(愼?王) 3년(BC 318), 양(梁 : 魏)나라 혜왕 (惠王)과 작별한 맹자(孟子)는 제(齊)나라로 갔다.

당시 나이 50이 넘은 맹자(孟子)는 제후들을 찾아다니며 인의(仁義)를 치세의 근본으로 삼는 왕도 정치론(王道政治論)을 유세(遊說) 중이었다.

동쪽의 제나라는 서쪽의 진(秦)나라, 남쪽이 초(楚)나라와 함께 대국이었고 또 선왕(宣王)도 역량 있는 명군이었다. 그래서 맹자는 그 점에 기대를 걸고 있었다.

그러나 시대가 요구하는 것은 왕도정치가 아니라 무력과 책략을 수단으로 하는 패도정치(覇道政治)였으므로, 선왕은 맹자에게 이렇게 청했다.

"춘추 시대의 패자(覇者)였던 제환공(齊桓公)과 진문공(晉文公)의 패업(覇業)에 대해 듣고 싶소."

"전하께서는 패도에 따른 전쟁으로 백성이 목숨을 잃고, 또 이웃 나라 제후들과 원수가 되기를 원하시옵니까?"

"원하지 않소. 그러나 과인에겐 대망(大望)이 있소."

"전하의 대망(大望)이란 무엇입니까?"

제(齊)나라 선왕(宣王)은 웃기만 할 뿐 입을 열려고 하지 않았다. 맹자 앞에서 패도(覇道)를 논하기가 쑥스러웠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맹자는 짐짓 이런 질문을 던져 선왕의 대답을 유도하였다.

"전하, 맛있는 음식과 따뜻한 옷, 아니면 아름다운 색(色)이 부족하시기 때문입니까?"

"과인에겐 그런 사소한 욕망은 없소."

선왕이 맹자의 교묘한 화술에 끌려들자 맹자는 다그치듯 말했다.

"그러시다면 전하의 대망은 천하통일을 하시고 사방의 오랑캐들까지 복종케 하시려는 것이 아닙니까? 하오나 종래의 방법(무력)으로 그것(천하통일)을 이루려 하시는 것은 마치 '나무에 올라 물고기를 구하는 것[緣木求魚]'과 같습니다."


'잘못된 방법[武力]으론 목적[天下統一]을 이룰 수 없다'는 말을 듣자 선왕은 깜짝 놀라서 물었다.

"아니, 그토록 무리한 일이오?"

"오히려 그보다 더 심합니다. 나무에 올라 물고기를 구하는 일은 물고기만 구하지 못할 뿐 후난(後難)은 없습니다. 하오나 패도(覇道)를 좇다가 실패하는 날에는 나라가 멸망하는 재난을 면치 못할 것입니다."

선왕은 맹자의 왕도정치론을 진지하게 경청했다고 한다.

曰 王之所大欲 可得聞與 王笑而不言 曰 爲肥甘 不足於口與輕煖不足於體與 抑爲采色 不足 視於目與 曰 吾不爲是也 曰 然則 王之所大欲可知已 欲抗土地 朝秦楚 `?中國而撫四夷 也 以若所爲 求若所欲 猶緣木而求魚也王曰 若是其甚與 曰 殆有甚焉 緣木求魚 雖不得魚 無後災.

▶ 緣 인연, 인할 연. 木 나무 목. 求 구할 구. 魚 고기 어.

▶ [동] 上山求魚(상산구어) : 산 꼭대기에서 물고기를 구하려하다.
           射魚指天(사어지천) : 물고기를 쏘려는데 하늘에다 겨눔.
           乾木水生(건목수생) : 마른 나무에서 물을 짜내려함.

▶ [出典] 孟子 梁惠王章句上篇  

 

 

 

 1-

 

인연
까닭, 이유, 인연, 가설, 가장자리, 말미암다.
  (실 사) , 9
結緣(결연) : 인연을 맺음.
血緣(혈연) : 같은 핏줄로 이어진 인연.
1. 양로원에 계시는 할머니와 結緣(결연)을 맺었다.
2. 대가족 제도는 血緣(혈연)을 중요시하였다.
緣木求魚(연목구어)

변에 彖(끊을 단)자를 합한 글자. 彖자는 끊어진 끝. 깔린 천의 끝[彖]이 이를 감싼 실[ ]로 말미암아 올이 풀리지 않는 다는 데서 '인연'이라는 뜻. 형성

 

 

2-

 

 

 

나무

나무

  (나무 목) , 0

木造(목조) : 나무로 지음.
材木(재목) : (건축·토목·가구 따위의) 재료로 쓰는 나무. '큰일을 할 인물'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1. 부석사 무량수전은 고려시대에 지어진 木造(목조) 건물이다.
2. 저 사람은 앞으로 큰일을 할 材木(재목)이다.

땅에 뿌리를 박고 선 나무의 모양을 본뜬 글자. 상형

 

 

3-

 

 

 

구할

구하다, 청하다, 바라다.

  (물 수) , 2

求職(구직) : 직업을 구하다.
追求(추구) : 목적한 바를 이루고자 끈기 있게 쫓아감.

1. 경기가 어려워지면 求職(구직)하기도 어려워진다.
2. 이윤 追求(추구)만 생각하지 말고, 좋은 제품을 만들어보자.

가죽으로 만든 덧옷의 모양을 본 뜬 글자. 가죽옷은 누구나 입고 싶어한다는 데서 '구한다','찾다'의 뜻이 됨. 상형.

 

4-魚

 

고기
물고기, 생선, 물고기의 총칭
  (물고기 어) , 0
魚類(어류) : 물고기의 통칭.
養魚場(양어장) : 물고기를 기르는 곳.
1. 대형 수족관에 가면 다양한 魚類(어류)를 볼 수 있다.
2. 나는 어제 아버지와 함께 養魚場(양어장)에 다녀왔다.
魚頭肉尾 (어두육미)
물고기의 머리[ ], 몸통[田],지느러미[ ] 등의 모양을 본뜬 글자. 상형

[(고사성어)] [수주대토](守株待兎)  (0) 2010.08.23
[(고사성어)] [우공이산](愚公移山)  (0) 2010.08.23
[(고사성어)] [염화미소](拈華微笑)   (0) 2010.08.23
[(고사성어)] [오십소백](五十笑百)  (0) 2010.08.23
[(고사성어)] [배수지진](背水之陣)   (0) 2010.08.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