諱疾忌醫 (휘질기의)
자신의 결점을 감추고 고치려 하지 않음
휘질기의(諱疾忌醫)는 송나라 주돈이의
주자통서(周子通書)에 나오는 고사이다.
휘(諱)는 ‘꺼리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기(忌)는 몸 기(己)에 마음 심(心)을
받쳐 놓은 글자로서, 자기의 몸을 염려하니
마음이 ‘꺼려진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춘추시대 채(蔡) 나라에 편작이라는
유명한 의원이 있었다.
어느 날 채나라 환공이 병을 얻었다.
이에 편작은 진찰을 하고는
“대왕께서는 피부병을 얻으셨습니다.
지금 치료를 하시지 않는다면 더욱더
심해 질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환공은 병이 없다면서 치료를 거절했다.
열흘 후 편작은 다시 왕에게 “병이 속살까지
퍼져서 서둘러 치료를 하지 않으면 심각하게
될 것입니다” 하고 간청을 드렸다. 오히려
왕은 불쾌한 표정으로 거절을 했다.
다시 열흘이 되어 “병이 내장까지 번져
지금 치료하지 않으면 위험합니다” 하고
치료를 권했지만 왕은 끝내 거절하고 말았다.
이후에도 열흘마다 병의 진행과정을 상세하게
보고를 했다. 그러나 왕은 오히려 화를 냈다.
결국 환공은 얼마 되지 않아 병들어 죽고 말았다.
이때부터 휘질기의는 ‘자신의 결점을 감추고
고치려고 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쓰이게 되었다.
병은 널리 자랑하라는 말이 있다.
우연히 치료 방법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자신의 단점을 무조건
감출 것이 아니라 표현해야 한다.
그래야만 단점을 지적 받고 고칠 수 있기 때문이다.
그것이 바로 휘질기의의 교훈일 것이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法之不行自上征之 (0) | 2013.12.11 |
---|---|
삼국지 관련 고사성어 (0) | 2013.01.06 |
處世柔爲貴(처세유위귀)요 剛强是禍基(강강시화기)라 (0) | 2011.03.14 |
四字成語 (0) | 2011.03.14 |
有我無蛙人生之恨-"나는 있으나 개구리가 없는게 인생의 한이다"- (0) | 2011.03.06 |